국제 경제·마켓

[백브리핑]2026년 동계올림픽 유치…스위스 "없던 일로"

10일(현지시간) 2026년 동계올림픽 유치 찬반 주민투표를 하는 스위스 시옹에 찬성을 호소하는 포스터가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뉴스10일(현지시간) 2026년 동계올림픽 유치 찬반 주민투표를 하는 스위스 시옹에 찬성을 호소하는 포스터가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오는 2026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섰던 스위스 시옹이 주민투표의 고비를 넘지 못하고 동계올림픽 개최 유치를 포기하기로 했다.

외신들은 10일(현지시간) 동계올림픽 개최 후보지인 스위스 서남부 발레 주 유권자들이 이날 주민투표에서 올림픽 재정지원 계획에 거부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잠정개표 결과 올림픽 개최에 반대한 주민은 전체의 54%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계올림픽 유치활동을 펴온 ‘스위스캠페인’의 알렉산더 웨플러 대변인은 “투표 결과는 발레의 주도 시옹에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려던 노력이 종료됐음을 의미한다”며 “올림픽 개최가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계획이라고 설득했지만 유권자 대부분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스위스캠페인은 수일 내 올림픽 유치 공식활동을 중단할 방침이다.

시옹의 올림픽 유치 시도는 지난 1976년, 2002년, 2006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였다.

■동계올림픽 왜 포기하나

개최비용 부담에 주민 54% 반대

“차라리 사회서비스 등에 투자를”




발레 주 주민들이 동계올림픽 개최에 반기를 든 것은 막대한 개최비용 부담 때문이다. 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는 1억150만달러(약 1,090억원)의 재원이 소요된다. 스위스캠페인 측도 투표에서 주민들이 반대표를 많이 던진 이유에 대해 “모든 것이 돈의 문제였고 유권자들은 동계올림픽 개최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점을 우려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반대론자들은 동계올림픽을 주 예산으로 감당하기 힘들며 그 예산을 주민 생활에 직접적 도움이 되는 도로와 병원, 기타 사회 서비스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투표에 앞서 필리프 바롱 시옹 시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새로운 선정방식이 유치전에 나선 도시들의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줄 것”이라며 재정 문제를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반대 여론을 달랬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대를 무마하기는 역부족이었다.

스위스의 포기로 2026년 올림픽 유치를 놓고 캐나다 캘거리와 오스트리아 그라츠, 스웨덴 스톡홀름, 터키 에르주름, 일본 삿포로, 이탈리아 밀라노·토리노 등이 경합을 벌이게 됐다. IOC는 10월 이들 도시로부터 정식 유치제안서를 받은 뒤 내년 9월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