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정은 “지식·경험 배우려 한다”... 싱가포르 모델 따를 듯

'독재정권과 경제성장' 동시에 이뤄.. 김정은에 매력 어필

11일 저녁 야간 외출을 마치고 숙소인 싱가포르 세인트 리지스호텔로 돌아오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의 모습./출처=연합뉴스11일 저녁 야간 외출을 마치고 숙소인 싱가포르 세인트 리지스호텔로 돌아오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의 모습./출처=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의 야경을 둘러보며 싱가포르의 “훌륭한 지식과 경험들을 많이 배우려고 한다”고 말하면서 북한이 싱가포르를 결제발전 모델로 삼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한 김 위원장은 11일 밤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전망대에서 야경을 감상하며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귀국(싱가포르)의 훌륭한 지식과 경험들을 많이 배우려고 한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전했다.


싱가포르는 정치적으로 사실상 독재 정권을 유지하면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 성장에 성공한 이례적인 대표적 사례이다.

싱가포르는 국부로 추앙받는 리콴유가 1965년 초대 총리로 취임해 1990년 퇴임할 때까지 장기 집권하면서 독재에 가까운 권위적인 리더십으로 나라를 이끌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싱가포르를 동남아의 물류 및 금융 중심지로 키워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부국으로 만들었다. 싱가포르는 국제통화기금(IMF) 기준, 올해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세계 10위 수준인 6만1,766달러에 이른다.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독재’를 유지하면서도 ‘경제’를 일군 싱가포르 모델에 충분히 주목할 만 하다.

앞으로 북한이 주변국의 보상을 받아 경제개방에 나서면 외국 문물의 유입으로 사회적으로도 이완될 수밖에 없는데 싱가포르와 같이 강력한 법·제도를 내세워 이를 통제하겠다고 김 위원장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리콴유의 아들인 리셴룽이 현 싱가포르 총리라는 점도 김정은 위원장으로선 일종의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요소다.

관련기사



북한은 지난 2015년 리콴유 전 총리가 사망했을 때 박봉주 내각 총리가 발송한 조전에서 리콴유를 “인민의 친근한 벗”이라고 칭하며 애도의 뜻을 표할 정도로 과거부터 돈독한 외교관계를 수립해왔다.

북한은 1968년 1월 싱가포르에 통상대표부를 설치했는데, 이는 한국이 싱가포르에 통상대표부를 설치한 1970년 11월보다 3년 가까이 앞선 것이었다.

북한은 1969년 12월 통상대표부를 총영사관으로 승격했고, 1975년 11월에는 싱가포르와 수교 합의에 따라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한 상주 공관을 개설했다. 지난 2002년에는 북한의 경제시찰단이 남한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 함께 싱가포르를 함께 둘러보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본격화하면서 싱가포르와 북한과의 관계도 악화됐다. 싱가포르는 2016년 10월 1일부터 북한을 비자 면제 대상에서 제외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 8일부터는 대북 교역을 전면 중단했다.

하지만 북한이 비핵화의 길을 걷고 지난 4월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새 전략노선으로 채택한 ‘경제건설’에 매진한다면 두 나라 관계는 다시 급속도로 가까워질 여지가 충분하다.

양문수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권위주의와 세습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경제성장을 일궜다는 점에서 싱가포르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매력적이겠지만 이는 결과만 본 것으로 여건은 다르다”면서 “북한은 싱가포르를 포함해 다양한 경제모델을 참고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

홍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