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美, 스탠더드 강관에도 31% 관세폭탄

송유관·유정용 이어 세번째

또 '포스코 열연+전기료' 트집

한국 '특정시장상황'으로 규정

연례재심서 번번이 高관세 책정

한 철강 업체에서 천연가스 배관용 강관을 만들고 있다.   /서울경제DB한 철강 업체에서 천연가스 배관용 강관을 만들고 있다. /서울경제DB



미국이 한국산 스탠더드 강관에 최대 31%에 달하는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최종 결정했다. 송유관, 유정용 강관에 이어 스탠더드 강관까지 강관 제품을 향한 미국의 공세가 계속되는 형국이다. 미국은 판정 때마다 한국의 강관 제조 과정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며 트집을 잡고 있어 다른 강관 제품에도 관세 폭탄이 떨어질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1315A20강관제품관세폭탄


1315A20 대미강관수출규모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현대제철이 만드는 스탠더드 강관에 30.85%의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최종 결정했다. 직전연도 연례재심에서 현대제철(현대하이스코)에 부과했던 관세(1.62%)보다 29.23%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상무부는 개별 제품을 놓고 매년 1년 단위로 연례재심을 진행한다. 세아제강과 넥스틸에는 19.28%, 휴스틸에는 7.71%의 관세율이 책정됐다.

올해 들어 세 차례 있었던 강관류 연례재심에서 번번이 고율의 관세가 책정됐다. 상무부는 지난 1월 한국산 송유관에 대한 예비판정에서 최대 19.42%에 달하는 보복관세를 매겼다. 4월에는 대미(對美) 수출 유정용 강관 1위 업체인 넥스틸에 75.81%의 보복관세를 물리기도 했다.


상무부는 강관류 제품에 관세를 매기면서 매번 똑같은 논리를 주장하고 있다. 상무부는 이번에도 고율의 관세를 매기면서 포스코 열연 제품을 물고 늘어졌다. 열연은 강관에 들어가는 주요 원자재다. 앞서 상무부는 포스코산 열연에 자료 제출에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며 57.04%의 징벌적 관세를 매긴 바 있는데 이를 가져다 쓴 제품들도 문제가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관련기사



상무부는 한국의 전기료 문제도 거듭 지적하고 있다. 제품을 만드는 데 대량의 전기를 사용하고서도 제값을 치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종 제품가격이 싸게 책정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가장 큰 전기 공급 업체인 한국전력공사가 정부 산하기관이라는 점을 계속 문제 삼고 있다. 정부가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전기를 싸게 공급한다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중국산 저가 철강재가 한국으로 밀려 들어와 한국의 철강재 가격이 낮게 형성됐다는 주장도 펼쳤다. 상무부는 이 같은 점을 종합해 한국 철강 시장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정시장상황(Particular Market Situation)’으로 규정하고 있다.

업계는 이 같은 상무부 주장에 논리적 허점이 분명하다고 반박한다. 포스코산 열연에 매겨진 고율의 관세는 포스코가 실제 덤핑을 했거나 보조금을 받아서 부과된 게 아니라는 주장이다. 57.04%는 ‘징벌적 관세’인 만큼 강관 제품에 대한 관세를 매길 때 이 수치를 인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

하지만 이 같은 목소리를 외면한 채 상무부가 강관 제품에 거듭 고율의 관세를 매기고 있어 업계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특히 쿼터제 시행으로 대미 수출량이 전년 대비 반토막 난 상황이라 아픔이 더 크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특정 시장을 운운하는 미국의 주장을 뒤엎지 못하면 대미 수출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