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쓰레기로 전락한 선거공보물

뜯어보지 않은 채 방치 수두룩

"효율성 높일 방안 필요" 지적

13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빌라 우편함 옆에 열어보지 않은 지방선거 공보물들이 쌓여 있다./오지현기자13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빌라 우편함 옆에 열어보지 않은 지방선거 공보물들이 쌓여 있다./오지현기자



“뜯어보지도 않고…재활용 쓰레기 때문에 난리 났던 게 엊그제 같은데….”

서울 은평구의 한 빌라 앞에 수북이 쌓여 있는 선거공보물 봉투들을 치우던 환경미화원 김모(65)씨는 한숨을 내쉬었다. 발송된 지 열흘이 지났지만 이 빌라 입구에는 선거 당일까지도 열어보지 않은 공보물들이 그대로 놓여 있었다.


13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진이 서울 시내 아파트와 빌라를 둘러본 결과 입구 곳곳에 제7회 지방선거 투표안내문과 선거공보물들이 방치돼 있었다.

관련기사



아예 뜯어보지도 않은 채 쌓여 있는 공보물들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서대문구의 한 빌라에 사는 30대 박모씨는 “갖고 가봐야 쓰레기만 되니 그냥 버려두는 것 같다”며 “막상 공보물을 읽어봐도 내용이 제각각이어서 정작 알고 싶은 정보는 빠져 있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이번 6·13지방선거의 경우 후보자만 1만여명이어서 공보물의 양도 평소보다 많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공보물 법정 발송 규모는 6억4,000만부에 달했다. 이에 따라 예산낭비를 줄이고 공보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권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규격화해 한 후보당 공보물을 1~2장으로 줄이는 방안, 온오프라인 공보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후보마다 공보물의 양도 다르고 크기도 제각각이다 보니 분류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기도 한다”면서 “선거공보물 형태와 발송방법 개선방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