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폼페이오 “2년 6개월 내 북한 ‘주요 비핵화’ 달성 희망”

“북, 협상 진지하지 않으면 한미연합훈련 재개”

“‘완전한 비핵화’는 ‘검증가능한’ 개념도 아우르는 것”

“심도있는 비핵화 검증 있을 것…北도 이해했다고 확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AFP연합뉴스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AFP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14일 “우리는 (북한의) 주요 비핵화를 앞으로 2년 6개월 내 달성할 수 있을 거라고 희망한다”고 말했다.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한 뒤 서울로 이동한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북한이 언제까지 핵무기 해체 조치를 하길 원하나’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와 맞물리는 2020년말 정도까지 비핵화의 주요 성과를 내겠다는 뜻이다. 폼페이오 장관이 비핵화의 구체적 시간표를 명시적으로 못 박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관련기사



폼페이오 장관은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채택된 합의문에 미국이 일관된 목표로 제시했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포함, 구체적 비핵화 로드맵이 담기지 않은 것을 두고 미국 내에서 역풍이 일고 있는 데 대한 진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는 합의문에 ‘CVID’가 빠진 것을 두고 “여러분에게 장담하건데, 관련된 모든 이들의 마음속에는 ‘완전한’(Complete)란 말은 ‘검증가능한’(Verifiable)이란 말을 아우르는 것”이라며 “누구도 입증이나 증명 없이 완전한 비핵화를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심도 있는 검증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북한도 이해한다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폼페이오 장관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문제도 북한이 협상에 진지하게 나선다는 걸 전제조건으로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더이상 진지하지 않다고 결론 낸다면 동결(훈련중단)은 더는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점을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데 있어서 모호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마무리된 뒤 전날 한국을 공식 방문했으며, 이날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하고 한미·한미일 외교장관회담 및 공동 기자회견을 한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