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새 위암 치료 표적·물질 찾아냈다

서울아산병원 박윤용 교수팀

암 형성·성장 억제 ESRR-감마 수용체

위암 환자에선 활성도 1/15 수준으로↓

활성화제 DY131 투여 땐 암 억제 확인

위암 환자의 종양을 이식한 실험쥐에 3일마다 DY131을 투여하고 측정한 종양의 부피가 부형제(vehicle)만 투여한 쥐보다 훨씬 작았다.위암 환자의 종양을 이식한 실험쥐에 3일마다 DY131을 투여하고 측정한 종양의 부피가 부형제(vehicle)만 투여한 쥐보다 훨씬 작았다.



서울아산병원 연구진이 위암 환자에게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과 치료 물질을 찾아냈다.

새 표적은 위암 세포 성장과 종양 형성 억제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세포핵 내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SRR-감마)’, 위암 표적치료 물질은 글로벌 제약사 GSK의 연구용 화합물 DY131이다.


울산대 서울아산병원 박윤용 융합의학과·명승재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이런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을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박 교수팀은 3개 위암 환자 코호트에 공통적인 유전자 발현 패턴, 위암 환자와 정상인의 위 조직에서 발현양의 차이가 큰 유전자 데이터, 위암 세포주 및 위암 환자의 종양을 이식한 누드 생쥐에 대한 DY131 등 투여 실험을 진행했다.


박 교수는 14일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위암 조직에서는 ESRR-감마의 발현양이 정상 세포의 15분의1에 그칠 정도로 활성이 위축돼 암이 생기고 암세포의 성장속도도 빨라졌다”며 “반면 ESRR-감마 활성화제(agonist)인 DY131를 위암 환자의 종양을 이식한 누드 생쥐에 투여했더니 종양의 크기와 무게가 상당히 작아졌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울아산병원 박윤용(왼쪽)·명승재 교수서울아산병원 박윤용(왼쪽)·명승재 교수


그는 “ESRR-감마가 위암에서 잠재력 있는 종양억제 인자이고 DY131 같은 ESRR-감마 활성화제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 효과적인 위암 표적항암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 DY131은 ESRR-감마를 활성화해 암세포 분화·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윈트 신호전달(Wnt-Signaling)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했다. DY131이 윈트 신호전달을 억제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작용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은 박 교수팀이 처음이다. DY131은 다른 윈트 억제제(XAV-939, ICG-001, Wnt C59)보다 위암 세포에서 더 많은 효능을 나타냈다.

또 ESRR-감마의 발현양이 정상적인, 다시 말해 ESRR-감마가 활성화돼 있는 위암 환자는 전체 생존율(OS)과 무재발 생존율(RFS)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대로 ESRR-감마의 활성이 위축된 환자는 임상 결과도 좋지 않았다. 암 억제 수용체·유전자의 활성이 떨어져 암세포의 분화·성장이 빨라진 때문이다.

위암은 생물학적 복잡성 등 때문에 표적항암제 개발이 늦은 편이다. 당초 유방암 치료제로 개발된 트라스투주맙 성분의 허셉틴(로슈)·허쥬마(셀트리온)·삼페넷(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위암 환자의 5~10%인 HER2(인간상피세포증식인자수용체 2형) 양성 전이성 위암 표적치료제로도 쓰이고 있지만 이들 중 일부에만 들을 뿐이다.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SRRG 또는 ESRR-감마)가 활성화된 위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무재발 생존률(RFS)이 높고 생존기간이 길었다.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SRRG 또는 ESRR-감마)가 활성화된 위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무재발 생존률(RFS)이 높고 생존기간이 길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