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폐기물을 에너지로"…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의 미생물 사랑

"석유·전기 이을 에너지원"

21일 관련 포럼 개최




김영훈(사진) 대성그룹 회장의 ‘미생물 에너지 혁명’을 향한 끝없는 도전이 올해도 계속된다.


대성그룹은 오는 2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미생물을 활용한 폐기물 자원화와 이를 통해 미래 환경·에너지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2018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개최한다. 지난해 창립 70주년을 기념해 열린 ‘퓨 넥서스 콘퍼런스’에서 세계적인 전문가들과 미생물 에너지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한 데 이어 열리는 두번째 포럼이다.

관련기사



일반에게는 생소한 미생물 에너지는 세계에너지협의회(WEC) 회장을 맡고 있는 김 회장이 석탄과 석유·전기에 이어 새로운 에너지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기대하고 있는 분야다. 지난해 콘퍼런스 이후 관련 김 회장이 전문가를 초청해 진행한 그룹 내부 강연도 십여 차례가 넘을 정도다. 대성그룹 역시 대구 위생 매립장에서 미생물을 활용해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해 난방에너지로 판매하는 등 관련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 권위의 환경상인 ‘그린 애플 어워즈’를 수상한 바 있다. 김 회장은 지난해 첫 콘퍼런스에서 “이미 실험실 단계에서는 관련 기술이 확보된 상태로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적 에너지가 될 수 있다”며 “에너지 혁명을 넘어서 경제 혁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올해 포럼은 ‘폐기물을 에너지로(From Waste to Energy)’라는 주제로 열린다. 지난해와 비교해 첨단 바이오 기술을 통해 폐가스와 고형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등 좀 더 구체화되고 기술적인 분야에서의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조병관 KAIST 교수가 포럼 좌장을 맡으며 필립 수카이 프랑스 국립응용과학원 교수와 미국 란자텍 합성생물학 디렉터인 마이클 퀩케 박사, 첸양 중국과학원 교수 등 세계적 석학과 국내에서는 정규열 포항공대 교수와 이은열 경희대 교수 등이 참가한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