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후쿠시마 제2원전도 폐로...사고지역 원자로 10기 모두 해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도쿄전력 측이 공개한 원자로 3호기(앞쪽)와 4호기(뒤쪽)의 파손된 모습/출처=AFP연합뉴스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도쿄전력 측이 공개한 원자로 3호기(앞쪽)와 4호기(뒤쪽)의 파손된 모습/출처=AFP연합뉴스



일본 전력회사 도쿄전력이 동일본대지진 당시 원전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에 이어 제2원전도 폐로(원자로 해체)하기로 했다. 이로써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후 피폐화된 후쿠시마현의 모든 원전이 폐로된다.

도쿄전력 홀딩스의 고바야카와 도모아키 사장은 14일 후쿠시마현청을 방문해 후쿠시마 제2원전의 원자로 4기를 모두 폐기하겠다고 밝혔다. 후쿠시마현에는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제1원전의 6기와 후쿠시마 제2원전의 4기 원자로가 가동 중이었다.

당시 지진으로 쓰나미가 제1원전을 덮쳤고 냉각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핵연료가 녹아내리며 수소 폭발이 발생해 방사성 물질이 대거 쏟아져 나오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에 폐로가 결정된 제2원전도 1호기, 2호기, 4호기 등 3기가 침수 피해를 입었고 한때 냉각기능을 잃었지만 복구돼 다행히 수소 폭발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도쿄전력은 사고 후 후쿠시마 1~2원전의 10기 원자로 모두 가동을 중단했지만, 이 중 제1원전의 6기에 대해서만 폐로 작업을 진행했다. 제2원전에 대해서는 가동만 중단시킨 채 폐로를 할지 재가동 절차를 밟을지 저울질해왔다.

관련기사



도쿄전력 홀딩스의 고바야카와 사장은 제2원전의 폐로 결정에 대해 “이대로 애매하게 놔두면 후쿠시마 부흥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설명하며 “폐로의 구체적인 일정은 지금까지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쿠시마 제2원전이 폐로 수순을 밟게 되면서 후쿠시마는 원전사고 후 7년여가 지나서야 이 지역 내 ‘원전 제로(ZERO)’를 추진하게 됐다. 도쿄전력은 니가타현 가시와자키카리와 원전 1~7호기 등 7기의 원자로만 보유하게 됐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

홍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