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안구건조증 환자 연 2%씩 증가..스마트폰·미세먼지 영향

안구건조증 환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눈을 자극하는 스마트폰 사용 증가와 미세먼지 같은 대기환경 악화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4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3∼2017년) 안구건조증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환자는 2013년 약 212만명에서 2017년 약 231만명으로 연평균 2.1%씩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3년 약 68만명에서 2017년 약 75만명으로 11.9%(약 8만명), 여성은 같은 기간 약 145만명에서 156만명으로 7.4%(약 11만명) 증가했다.


성별로 구분하면 인구 10만명 당 남자가 2천931명, 여자가 6천160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2배 이상 안구건조증 환자가 많았다.

관련기사



2017년 기준으로 안구건조증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5명 중 1명꼴인 45만6천715명(19.8%)은 50대에서 발생했다. 이어 60대 39만1천739명(16.9%), 40대 37만6천206명(16.3%) 순이었다.

2017년 기준 계절별로 보면 봄철(3∼5월)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이 약 85만명으로 같은 해 가을철(9∼11월) 진료인원 약 76만명보다 12.0%(약 9만명) 더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영상단말기의 사용 급증이라는 환자 개별적 요인과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의 악화라는 주변 환경적 요인의 결합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고 있다”고 했다.

/김주원 기자 sestar@sedaily.com

김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