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상반기 10만명 후반대라더니...5월 취업자 증가폭 ‘7만명’ 쇼크

2010년 1월 이후 8년4개월만에 '최저'

올 들어 4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

최저임금 영향 큰 제조업, 도소매업 '직격탄'




지난 2~4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물던 취업자 증가 폭이 지난달에는 7만명대로 추락하며 더 악화됐다. 지난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부총리가 경기도 하남 스타필드를 방문해 “상반기 중에 10만명 후반대의 고용 증가를 예상한다”고 했지만 개선은커녕 8년4개월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내놓았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6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2,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0년 1월 1만명이 줄어든 이후 8년4개월만에 가장 저조한 결과다.

올 들어 취업자 증가 폭은 줄곧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정부 목표치인 30만명를 한참 못 미친 10만4,000명을 기록하더니 4월까지 10만명대를 맴돌았다. 결국 지난달에는 10만명선까지 무너졌다. 취업자 증가 폭이 넉 달 연속 20만명대를 밑돈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당시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취업자 증가 폭은 10만 명대에 머물거나 더 낮았고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산업별로 보면 교육 서비스업, 제조업, 도·소매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상당히 줄었다.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가 고스란히 전해지는 업종들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7만9,000명(-1.7%) 줄었고, 교육서비스업은 9만8,000명(-5.0%), 도매 및 소매업은 5만9,000명(-1.6%) 감소했다.

관련기사



통계청은 “자동차·조선 등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었고 집중호우 영향으로 건설업 일용직 감소 폭도 큰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고용률은 61.3%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1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6,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4.0%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5월 기준으로 2000년 4.1%를 기록한 이후 1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10.5%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나 상승했다. 공무원 시험 일정이 앞당겨지면서 경제활동참가인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