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이통 3사, 손땀 쥐는 5G 주파수 경매의 날 밝았다

전국망 구축 유리한 3.5㎓대역 격전 전망

이통사들 상황실과 전화하며 전략 구축

점심은 도시락 먹으며 외부 접촉 최소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오전 9시 전후로 성남시 분당 한국정보통신협회에서 5㎓ 대역 280㎒폭, 28㎓ 대역 2,400㎒폭 경매에 돌입한다./연합뉴스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오전 9시 전후로 성남시 분당 한국정보통신협회에서 5㎓ 대역 280㎒폭, 28㎓ 대역 2,400㎒폭 경매에 돌입한다./연합뉴스



차세대 이동통신 5G 주파수 경매가 15일 시작된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오전 9시 성남시 분당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경매장에 입실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놓은 경매 대상은 3.5㎓ 대역 280㎒폭, 28㎓ 대역 2,400㎒폭 등 총 2,680㎒폭이다. 3.5㎓ 대역은 10㎒씩 28개, 28㎓ 대역은 100㎒씩 24개 블록으로 나뉘어 경매에 부쳐진다.

최저경쟁가격은 3.5㎓ 대역 2조6,544억원, 28㎓ 6,216억원 등 총 3조2,760억원이다. 블록당 가격은 각각 948억원, 259억원이다. 한 사업자가 낙찰받을 수 있는 주파수 총량은 3.5㎓ 대역 100㎒폭, 28㎓ 대역은 1,000㎒폭으로 제한된다.


경매는 3.5㎓와 28㎓ 대역이 동시에 진행되나, 격전지는 3.5㎓ 대역이 될 전망이다. 3.5㎓ 대역이 전국망 구축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경매는 블록 개수를 결정하는 1단계에 이어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 2단계로 이어진다. 1단계는 최저 경쟁가로 시작해 3사가 제출한 총 블록 양이 공급량과 일치할 때까지 최대 50라운드까지 진행된다. 50라운드를 넘으면 밀봉입찰이다. 라운드마다 정부가 제시하는 시작가는 1% 한도 안에서 0.3∼0.75%씩 상승한다. 이통사는 ‘금액선택입찰’을 통해 정부의 제시가보다 낮은 희망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단, 금액선택입찰을 할 경우 희망 블록 수는 줄여야만 한다.

2단계 위치 경매는 밀봉입찰 방식으로 2시간 동안 진행된다. 3사는 상·중·하단 대역별 희망가를 제출하며, 총 6개의 조합 중 최고가 조합이 낙찰된다.

경매장은 경매가 끝날 때까지 24시간 출입이 제한된다. 각사 입찰실에는 회사 측 대리인 3명과 정부 측 입회자 2명이 들어간다. 입찰자들은 입찰실에서 휴대전화 두 대와 팩스 한 대, 통신이 차단된 노트북 한 대, 사무용품만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라운드마다 CEO를 필두로 한 본사 상황실과 통화하며 입찰 여부와 조건을 결정한다. 점심은 외부와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락으로 해결한다.

경매는 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1단계는 라운드당 1시간씩 하루 최대 6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 경매는 오후 3시 이전에 1단계 경매가 끝날 경우에만 당일에 진행된다. 아닐 시엔 다음 날로 넘어간다.

낙찰 결과는 빠르면 오늘 저녁께 발표된다. 경쟁이 치열한 3.5㎓ 대역에서 100㎒폭을 포기하는 사업자가 4라운드 안에 나올 경우 당일 결판이 가능하다. 이날 결판이 나지 않으면 경매는 18일에 재개될 예정이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신경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