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더는 核위협 없다" 트럼프 '쇼맨십' 정치, 후속 협상 '덫' 될수도

"한미훈련 중단하면 많은 돈 절약""핵전쟁 막았다"

'일방 양보' 부정적 여론 잠재우려 잇단 치적 홍보

트윗서 "협상 결렬되면 한미훈련 즉시 재개" 비판여론 반박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폭스뉴스의 ‘폭스 앤드 프렌즈’ 공동진행자인 스티브 두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내 직통 전화번호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폭스뉴스 영상 캡처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폭스뉴스의 ‘폭스 앤드 프렌즈’ 공동진행자인 스티브 두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내 직통 전화번호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폭스뉴스 영상 캡처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치적 홍보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구체적인 ‘북한 비핵화’ 성과 없이 북한에 일방적으로 양보했다는 미국 내 부정적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성과 부각이 후속 협상의 기대치를 더욱 올려 후속 협상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다. 여기에 높아진 기대치로 인해 후속 협상이 어그러지거나 기대 이하의 성과가 도출될 경우 오는 11월 중간선거 등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국내외에서 발목을 잡는 정치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제안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것은 나의 제안이었다”며 “(북한과) 협상을 하면서 훈련하는 것은 나쁘기 때문에 중단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훈련 중단은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어 우리에게 좋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북미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북한 비핵화’ 성과 없이 일방적으로 북한에 양보했다는 미국 내 비판론을 반박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달리 북한이 먼저 제안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여기에 한미연합훈련 중단 요구 뒤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부정적 여론을 무마시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는 힘을 얻지 못하는 분위기다. 실제 17일 아사히신문은 ‘한미군사훈련 중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이 아닌 시 주석의 제안을 받아들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 측에 이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중국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한미연합훈련 중단 요구에 이해를 표시했다”며 “중국의 생각이 반영된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시 주석이 지난달 7~8일 다롄을 방문한 김 위원장에게 북한에 억류 중이던 목사 등 3명의 미국인에 대한 석방의 대가의 하나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지를 미국 측에 요구하라고 제안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북미 정상회담이 성과가 없다는 비판에 대해 북미 정상 간 핫라인을 구축했다는 발언으로 맞서고 있다. 북미 간 직접 대화 채널을 열어놓아 북한과 구체적인 후속 조율의 가능성을 열어뒀다는 것이다. 15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북미 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에게 나와 바로 연결될 수 있는 직통 전화번호를 전달했고 17일 북한에 전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은 물론 자신에게 우호적인 폭스뉴스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의 핵 문제를 풀지 못한 점을 들며 “더는 북한으로부터의 핵 위협은 없다”고 장담하는 등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성과 알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주요 매체들은 성과가 없고 북한과 중국이 승리한 회담이라는 비판여론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들이 트럼프가 졌다고 하는데 (북미 정상이) 만나기로 합의를 안 했다면 무슨 일이 생길지 아느냐. 핵전쟁이 나게 된다”고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특히 비판여론을 의식한 듯 17일 트윗을 통해 “북미 협상이 결렬되면 한미훈련을 즉시 재개할 것”이라며 한미연합훈련 중단은 협상을 위한 카드일 뿐 큰 문제가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의 치적 홍보가 오히려 당장 이번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북한과의 비핵화 후속 협상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 위험 부담이 커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트럼프 대통령은 더는 핵 위협이 없다고 했지만 예측 불가능한 국가(북한)가 만약 (비핵화 약속을) 완수하지 못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외교적·정치적 리스크를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비정부기구인 군축협회(ACA)의 캘시 대븐포트 비확산정책국장도 더힐과의 인터뷰에서 “성급한 승리 선언은 북한에 대해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무책임한 처사”라며 “완전한 비핵화의 개념 정립을 비롯해 이후 협상의 과정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