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능범죄도 꼼짝마' 공인전문수사관 300명시대 눈앞

檢, 도입 2년만에 올 200명 넘어

연내 두차례 추가로 선발 예정

수사 전문성 강화를 위해 지난 2016년 도입한 ‘공인전문수사관’이 올해 200명을 넘어섰다. 검찰이 연내 두 차례에 걸쳐 추가 선발을 예정하고 있어 올해 300명 돌파가 가능할 전망이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이달과 오는 12월 두 차례에 걸쳐 공인전문수사관을 선발할 예정이다. 지난 1월에 이어 올해만 3번째다.

공인전문수사관 제도는 검찰의 수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 회계, 마약 등 전문 분야 수사관을 선정해 육성하는 제도다. 공인전문수사관으로 인증을 받으면 장기간 전보 없이 관련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일하며 전문성을 쌓을 수 있다.


대검은 도입 첫 회인 2016년에는 4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95명, 53명을 뽑았다. 당시 대검은 부정부패, 강력, 여성·아동 등 27개 전문영역에서 선발했다. 지난해에는 국정농단 수사 등 바쁜 일정에 따라 선정하지 않으나 올해 1월 69명을 새로 지정하면서 총 21개 분야 217명으로 늘었다.

관련기사



검찰이 공인전문수사관 지정에 박차를 가하는 이유는 기술적 발달 등에 따라 범죄 수법이 교묘해지면서 수사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어서다. 검찰은 공인전문수사관 외에 2013년 11월부터 공인인증검사 제도도 시행 중이다. 현재 공인인증검사 제도에 따라 블랙·블루벨트로 지정된 검사는 각각 5명과 147명이다. 블랙벨트는 검찰이 검사 전문화를 위해 시행 중인 공인전문검사 제도 중 최고 등급이다. 공인인증검사로 인증받은 블루벨트 검사 가운데 고도의 전문성이 인정되는 이에게 수여한다.

앞서 검찰은 173개 분야에서 블루벨트 검사를 선발했으나 유사 분야를 통합·개편하면서 선발 부문이 47개로 줄였다.

아울러 검찰은 전국 11개 지방수사청을 중점수사청으로 진행해 운영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금융범죄, 서부지검과 동부지검은 각각 식품의약안전, 사이버범죄 사건을 중점적으로 수사하는 방식이다. 검찰은 수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공인전문수사관·공인인증검사는 물론 중점수사청도 해마다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