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농업기술원, 인삼 뿌리썩음병 밀도진단기술 시연회 …연작피해 해결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인삼 뿌리썩음병 연작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18일 전문가, 공무원 등 34명이 참가한 가운데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진단기술 시연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인삼의 뿌리썩음병은 연작으로 나타나는데 연작 2년생부터 40∼50%가 발생하고 3년생이 되면 대부분 인삼에서 발생해 인삼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준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기술에 대한 이론 교육과 인삼뿌리썩음병 원인균 밀도진단을 위한 검량기술 실습, 결과 분석 및 기술 확대보급을 위한 토의가 진행됐다.

관련기사



경기농기원은 지난해 연천과 파주지역의 200여 필지 4~5년생을 대상으로 인삼뿌리썩음병 발병율과 실린드로카폰과 푸사리움의 밀도진단을 시행한 결과 토양 1g 당 1포자 이상의 밀도를 보인 인삼밭은 16%, 나머지 인삼밭은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경기농기원에 따르면 인삼뿌리썩음병은 토양 1g 당 100포자 이상일 경우 발병이 되지만 토양 1g 당 99포자 이하에서는 발병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농기원은 지난 2015년 인삼밭 토양 내의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을 위해 ㈜코젠바이오텍과 공동연구를 추진해 2016년에 진단기술을 개발했하고 지난해 8월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