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언론 3단체 "프레스센터, 언론계에 돌려줘야"

신문협·신방편집인협·기자협

'언론인 서명운동' 공식 출범식

언론3단체장이 18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언론인 서명운동’ 출범식을 갖고 한국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날인을 한 후 서명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이하경(왼쪽부터)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 /사진제공=한국신문협회언론3단체장이 18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언론인 서명운동’ 출범식을 갖고 한국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날인을 한 후 서명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이하경(왼쪽부터)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 /사진제공=한국신문협회



한국신문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한국기자협회 등 언론 3단체는 18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언론인 서명운동’ 출범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언론 3단체는 ‘프레스센터와 남한강연수원의 소유권을 언론계에 반환’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이들 시설을 관할’하며 ‘시설에 대한 언론계의 자율적 관리를 보장’하라는 세 개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이들 3단체는 서명이 진행되면 청와대·총리실·기획재정부 등 정부 관련 조직에 서명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한국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식에서 언론3단체장이 ‘프레스센터 언론계 환수를 위한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이하경(왼쪽부터)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사진제공=한국신문협회한국프레스센터의 언론계 환수를 위한 서명식에서 언론3단체장이 ‘프레스센터 언론계 환수를 위한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이하경(왼쪽부터) 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사진제공=한국신문협회


‘프레스센터’는 ‘한국신문회관’에서 출발했다. 신문회관은 1980년대까지 언론 3단체를 비롯한 여러 언론단체와 서울신문이 입주해 사용하던 건물의 이름이다. 1980년대 초반 ‘언론의 자유와 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해 현대화된 시설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프레스센터의 건립이 추진됐다. 신문회관의 전 자산과 서울신문의 자금이 건설 재원으로 출연됐고 당시 한국방송광고공사가 관리하던 정부의 공익자금도 투입됐다.


하지만 지난 1984년 한국프레스센터가 완공되자 당시 5공 정부는 공사 앞으로 소유권 등기를 강행했다. 그 결과 언론단체들이 한국프레스센터의 세입자 신세로 전락했다. 언론계는 한국프레스센터의 굴절된 소유 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최근에는 공사가 재산권 행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면서 소유권을 둘러싼 민사소송이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병규 한국신문협회 회장은 “프레스센터는 역사적으로 언론계 소유”라며 “전두환 정권이 프레스센터 소유권을 방송광고 판매대행 회사인 공사 앞으로 등기한 잘못이 34년째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론계의 공적 자산인 프레스센터는 마땅히 언론계로 돌아와야 한다”며 “이번 서명운동이 정책 당국의 이성적 결단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