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통3사 같은 출발선서 진검싸움...비즈모델이 승부 가른다

5G 주파수 경매 낙찰가 3.6조에 결정

SKT·KT 주도권 싸움 치열

전용단말기 내년 6월 선봬도

수익모델 확보엔 시일걸릴듯

주파수 위치는 SKT와 LG유플러스가 유리

1915A14 5G




1915A14 5G 특징


5G주파수 경매가 비교적 원활하게 마무리되면서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상당히 비슷한 출발 선상에서 차세대 서비스에 대한 진검 승부를 하게 됐다. 결국 어느 사업자가 확실한 사업모델(BM)을 선보일 수 있을 지가 승부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시작된 5G 주파수 경매가 경매 둘째 날인 이날 마무리됐다. 핵심은 역시 전국망 구축이 가능한 3.5GHz 대역이었다. 3.5GHz에 할당된 280MHz 대역폭을 놓고 이통 3사는 9라운드까지 눈치싸움을 벌였다. 결국 5G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SK텔레콤(017670)KT(030200)가 나란히 100MHz를 가져갔으며 LG유플러스(032640)는 80MHz 확보로 ‘실리’를 챙기는 것에 만족했다. 경매 시작 전부터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지목된 시나리오대로 마무리된 셈이다.

이제 남은 관전 포인트는 5G 시장 주도권을 누가 쥐느냐 여부다. SK텔레콤은 2,800만 명에 달하는 국내 가입자 수와 지난 연말 공개된 이통 3사 데이터 품질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기술력 등으로 5G 분야에서도 선두 자리를 지켜낸다는 방침이다. 양자암호통신 등 5G 보안에 많은 신경을 쓰는 만큼 드론 관제 및 자율주행차와 같은 5G 특화 시장에서도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보안업체인 ADT 캡스를 인수하는 등 5G 사업 모델 발굴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의 공격적인 경영 방식도 자신감의 배경으로 꼽힌다.


KT는 전봇대와 관로 등 5G 필수설비가 잘 갖춰져 있는 만큼 5G 시장에서만큼은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의 5G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기술적 노하우도 풍부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황창규 KT 회장의 정치권 불법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등 외풍에 따른 ‘CEO 리스크’는 변수다. 정권 차원의 ‘황창규 흔들기’가 계속될 경우 5G 선도 사업자로 공언해 온 KT의 입지가 위태로울 수도 있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는 아직 5G 수익 모델이 불확실하고 망 투자 비용에 따란 수익 창출 방안이 확실하지 않은 만큼 ‘패스트 팔로잉’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재무에 밝은 권영수 부회장의 ‘실리 경영’이 5G 에서도 빛을 발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국내 최초로 속도제한 없는 완전 무제한 LTE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국내 통신시장에서 ‘메기’ 역할을 해온 만큼 5G 시장에서 LG유플러스만의 승부수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다만 5G 수익 모델 확보까지는 이통 3사 모두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5G 통신 칩셋이 탑재된 단말기가 내년 2·4분기께나 출시될 예정이고 5G 전국망 구축까지는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인텔, 삼성전자, 화웨이, 퀄컴 등이 만드는 통신 칩셋이 내년 2·4분기에나 출시되고 이를 탑재한 단말기 또한 6월 출시를 장담하기 힘든 탓에 기업용(B2B) 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한 수익 확보에 ‘올인’할 수밖에 없다. 오성목 KT 사장 또한 앞서 간담회에서 “5G 전국망을 초기부터 LTE 커버리지 수준으로 깐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주요 도시에 5G 망을 부분적으로 구축하고 나머지는 LTE로 커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만큼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 5G는 LTE 대비 기지국이 더욱 촘촘해야 한다는 점에서 망 구축비용만 최소 20조원 이상이 소요돼 수년간 원가보상률이 100%를 밑돌 가능성도 높다.

3.5GHz 대역에서 할당받은 주파수의 위치에서는 오른쪽을 확보한 SK텔레콤과 왼쪽을 확보한 LG유플러스가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양사는 이를 위해 각각 2,505억원과 351억원의 비용을 추가 지출했지만 향후 정부가 5G용 주파수를 추가 할당할 경우 대역 확장이 가능하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3.5GHz 대역에서 한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을 100MHz로 제한하면서 우려했던 경매 과열이 일어나지 않았다”며 “이통 3사가 비교적 균등한 위치에서 5G 서비스를 시작한 만큼 사업모델을 얼마나 잘 발굴해 내고 가입자를 모을지가 승부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