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노조 어깃장에… '현대차 광주형 일자리' 급제동

"사측 협약서 사인땐 고발"

임금협상 연계 투쟁 경고도

현대자동차와 광주시가 자동차 위탁 조립공장(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식을 열려다가 돌연 연기한 데 이어 이번엔 현대차 노조가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실험에 급브레이크가 걸렸다.

현대차 노조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3자인 광주형 위탁공장에 투입하면 결과적으로 현대차에 영업상 손해를 끼치는 것”이라며 “사측이 협약서에 사인하면 즉각 고소·고발하겠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울산공장에서 양산 예정인 신차나 다른 차량 물량 일부를 제3자에게 넘기는 것은 업무상 배임이자 신의성실 원칙에 위반한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아울러 노조는 사측이 ‘기존공장에서 생산하지 않고 겹치지 않는 신차종이기 때문에 노조협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단체협약 별도회의록에 ‘신차종개발’을 명시했으며 노사공동위에서 심의 의결하게 돼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현대차는 최근 배기량 1,000㏄ 미만의 경형 신차를 개발하고 ‘레오니스’라는 이름의 상표권출원을 완료했다. 현대차와 광주시는 이 차가 신차종이어서 외부에 생산을 맡기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광주시가 밝힌 대로 현대차가 조립공장에 투자해 19% 지분을 가진 2대 주주로 참여하면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

광주시는 지난 18일 투자 협약식 연기 이유에 대해 “일부 사안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현대차 측은 “광주시 자체의 이유로 연기됐고 사업 현안에 대한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었지만 이날 노조가 “협약서에 사인하는 즉시 고소·고발하겠다”며 강경 대응하면서 현대차 측도 당황한 모습이다. 나아가 노조가 이 문제를 올해 임금협상과 연계시켜 투쟁에 나서겠다고 경고하자 현대차의 고민이 더욱 깊어진 모습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아직 진행 중인 프로젝트이고 현 단계에서는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어서 의견이나 입장을 낼 수 없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