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돌봄 공동체에 대한 환멸과 절망 담은 소설"

구병모 작가 '네 이웃의 식탁' 출간 기자간담회

구병모 작가구병모 작가




구병모 작가구병모 작가


“사회 현실과 잘 맞지 않는 돌봄 공동체에 대한 환멸과 절망을 가지고 쓴 소설입니다”

장편소설 ‘네 이웃의 식탁’을 출간한 구병모 작가는 19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과거의 낡은 공동체 개념이 돌봄 노동에 과연 적용 가능한지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구 작가는 “아이를 키우면서 옆에 한 사람, 두 사람이 더 있거나 여러 사람이 떼지어 같이 있다고 달라지지 않을 수 있겠다는 것을 느꼈다”며 “한 가정 안에서도 분명히 집중적으로 육아에 대한 부담을 지는 사람이 존재하는데 그 단위가 마을단위로 커진다고 해서 달라질 것 같지 않았다 ”고 말했다. 특히 구 작가는 지난 정부의 ‘대한민국출산 지도(가임기여성지도)’처럼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는 정책들이 나오는 상황에서 돌봄 공동체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네 이웃의 식탁’은 세 자녀를 갖는 조건으로 입주가 허용되는 공동 주택이 추진된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하여 경기도 외곽 지역 ‘꿈미래실험공동주택’에 네 부부는 이웃이 된다. 요진과 은오, 단희와 재 강, 효내와 상낙, 여산과 교원 그리고 그들의 어린아이들. 각자 다른 속사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웃이라는 이름의 공동체로 묶이고, 비슷한 또래 아이들의 ‘공동 육아’까지 이어가게 된다. 하지만 장밋빛 구상과 달리 의무와 부담감이 특정 사람에게 더욱 지워지는 등 갖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관련기사



이번 신작은 구 작가의 이전 작품과 많이 다르다. 구병모 작가 하면 으레 떠올리게 되는 비현실적인 세계관이 완전히 배제됐다. 대신 아들을 키우고 있는 작가 본인의 이야기가 소설 곳곳에 녹아들었다.

또 이번 소설에서 눈에 띄는 점은 소설 외의 작가의 말이나 해설을 아예 넣지 않았다는 점이다. 구 작가는 “이슈가 분명한 소설인 만큼 소설 밖에 있는 작가의 목소리가 강하게 들어갈 것이 우려돼 일부러 해설이나 부연설명을 없앴다”고 말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