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5만 전문인력 육성...데이터산업 확 키운다

■4차산업혁명위 활성화 전략

정보주체가 3자 제공 결정

'마이데이터' 시범사업 시행

개방 공공데이터 128개로 확대

시장 규모 2022년까지 10조로




정부가 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보주체의 정보 활용도를 높이고 공공데이터 개방을 크게 확대한다. 아울러 5만명의 데이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100여개의 빅데이터 전문기업도 육성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26일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4차 산업혁명위원회 회의실에서 제7차 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데이터 이용제도 패러다임 전환 △데이터 구축·개방·저장·유통·분석·활용에 대한 국가 빅데이터 지원체계 마련 △데이터산업 육성 기반 조성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됐다.


먼저 정부는 정보주체 중심의 데이터 이용제도 패러다임 확산을 위해 정보주체가 자기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제3자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에 나선다. 올해 의료·금융 분야를 시작으로 오는 2022년까지 사업 범위를 총 10개 분야로 확대한다. 또 개인정보의 활용 폭을 넓히기 위해 법 개정을 통해 개인정보보호법·위치정보법 상 개인정보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가명·익명정보의 개념도 정립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데이터 구축·개방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난해 48개였던 개방 공공데이터를 오는 2022년까지 128개로 확대하고, 범용분야와 전문분야의 AI 데이터를 만들어 단계적으로 보급하기로 했다. 또 데이터 저장·유통 활성화를 위해 중앙 정부는 물론 지자체에까지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중소기업 1만 곳의 클라우드 도입을 지원한다. 이밖에 데이터의 분석·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오는 2022년까지 500개 중소기업에 빅데이터 전문 기업 매칭에 나서기로 했다.

데이터산업 육성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2022년까지 대학 전공 신설·연구센터 확대 등의 방식으로 5만명의 데이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내년부터는 ‘국가공인 데이터 분석 국가기술자격제도’도 새로 시행하기로 했다. 또 IT 기업이 대거 입주해 있는 판교 일대 집중 지원을 통해 100여개의 빅데이터 전문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지난해 6조3,000억원 수준이었던 국내 데이터 시장을 오는 2022년까지 10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지난해 10만7,000명 수준이었던 전문인력을 15만명 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장병규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 것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자원으로 불리는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4차 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가 선정한 6대 핵심프로젝트도 공개됐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조성 △스마트임상시험센터구축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및 제도개선 △체외진단 기기 시장 진입 촉진 등이다. 헬스케어 특위는 이들 과제의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해나갈 계획이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