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햄버거·라면 즐기는 아이, ADHD 발병 위험 높다

단국대 백기청·김경민 교수팀

패스트푸드 등을 자주 섭취하고 과식하는 등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진 아이일수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재태기간 34주 미만의 조기 출산이 아동의 ADHD 증상과 관계있다는 연구도 나와 눈길을 끈다.

단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백기청·김경민 교수팀은 6~12세 초등학생 1만 6,831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식습관과 ADHD 증상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청량음료, 라면을 자주 섭취하는 식습관이 ADHD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햄버거로 대표되는 패스트푸드를 1주일에 5~6회 먹는 아이들은 전혀 먹지 않는 아이들보다 ADHD 위험도가 1.57배 높았다. 청량음료와 라면도 같은 비교 조건에서 각각 ADHD 위험도를 1.36배, 2.25배 높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신선식품인 채소나 과일, 우유 등은 자주 먹을수록 ADHD 위험도 낮아졌다. 채소, 과일, 우유를 1주일에 1~2번만 먹는 아이들은 하루 3번 이상 먹는 아이들에 비해 ADHD 위험성이 각각 2.01배, 1.60배, 1.12배 높게 나타났다.

과식 등 나쁜 식습관도 영향 커

채소·과일·우유는 ‘억제’ 효과

34주 미만 조산아도 연관성




과식하는 버릇 등 나쁜 식습관도 ADHD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혀 과식하지 않는 아이 중 ADHD 고위험군 비율은 7.2%에 그쳤지만 매일 과식하는 아이들의 ADHD 고위험군 비율은 21.1%에 달했다. 식사 속도가 빠르거나 늦은 아이들의 ADHD 고위험군 비율도 각각 12.9%, 11.3%로 나타나 적정 속도로 먹는 아이들의 6.6%보다 약 2배 높았다.

관련기사



단, 연구팀은 건강하지 못한 음식과 나쁜 식습관이 ADHD 위험을 높이는 이유라고 단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역으로 ADHD 증상 중 하나인 충동성 때문에 아이들이 패스트푸드나 청량음료 등과 같은 자극적인 음식을 추구하거나 식사 과정에 집중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또 최근 발표된 노르웨이공중보건국 연구팀의 대규모 관찰 연구에 따르면 조산도 아동의 ADHD 증상 발현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는 25일(현지시간) 미국의사협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자마(JAMA)’ 소아과학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1999년 1월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태어난 11만 3,227명의 아동을 산모의 재태기간에 따라 △조기 조산(임신 22~23주 무렵 출산) △후기 조산(34~36주) △만삭 분만(39주, 40주, 41주) △지연 분만(41주 이후) 등 여러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아동이 5살일 때 ADHD 유무와 8살일 때 과잉행동 및 충동성 정도를 시험 관찰했다. 연구 결과 34주 미만 조산아의 경우 만삭 분만한 아동에 비해 ADHD 증상 테스트에서 높은 평균점을 받는 것은 물론 부주의, 과잉행동 평균 점수도 높았다. 특히 여성 아동들 사이에서 조산과 ADHD의 연관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조산 위험을 줄여가는 일의 중요성을 밝힌 것은 물론 이른둥이들의 신경·정서발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적정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