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또 사고난 월미도 놀이기구…"안전검사 제대로 했나"

전문가 "현행 점검 횟수로는 불시 사고 예방 어려워"

안전사고 발생한 놀이기구 ‘회전그네’다./연합뉴스안전사고 발생한 놀이기구 ‘회전그네’다./연합뉴스



안전점검을 마친 인천 월미도 놀이기구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이용자들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8일 인천시 중구와 중부경찰서에 따르면 23일 오후 5시 30분께 월미테마파크에서 놀이기구 ‘회전그네’의 중심 쇠파이프 기둥이 파열돼 한쪽으로 기울며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놀이기구에는 어린이 8명이 탑승해 있었다. 다행이 부상자는 없었다.

회전그네는 나무 형태의 기둥을 중심으로 그네 20개가 매달려 회전하는 놀이기구다. 2009년 허가를 받아 9년째 운영되고 있다. 이 놀이기구는 지난해 12월과 올해 3월께 시행된 정기·특별 안전검사에서 별다른 이상이 없던 것으로 확인됐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매년 1∼2회 시행되는 정기 안전점검은 놀이기구에 따라 11개 항목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점검방법은 맨눈검사, 부속품 강도(剛度)검사, 시험운행 등이다. 그러나 안전점검은 회전그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현행 정기 안전점검 횟수가 문제라고 지적한다. 불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에는 역부족이라는 얘기다.

관련기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관계자는 “놀이기구는 정기점검에서 문제가 없더라도 다양한 원인으로 불시에 파손될 수 있어 철저한 일일 점검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상당수 놀이공원 운영자들은 주먹구구식으로 일일점검을 한다. 관련법을 개정해 정기점검 횟수를 늘리고 불시 점검도 시행해 운영자들이 일일점검을 철저히 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월미테마파크 다른 놀이기구인 ‘크레이지크라운’에서 발생한 사고도 정비 불량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어 다리 형태의 탑승기구인 크레이지크라운은 당시 탑승석 지지대에 설치된 볼트 3개 중 2개가 제대로 조여져 있지 않은 탓에 20대 남녀 탑승객 2명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았다. 정기점검을 8일 앞둔 상황이었다.

월미도 놀이기구 관리·감독 지자체인 중구는 회전그네에 대한 운영을 일시 금지하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KTC에 사고원인 조사를 의뢰했다. 현장조사는 29일 진행된다. KTC 관계자는 “회전그네 운영자는 사고 당시 어린이들을 고루 분산해 태우지 않고 한쪽으로 몰아 태운 것으로 파악됐다. 한쪽으로 쏠린 하중을 이기지 못해 쇠파이프 기둥이 파열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놀이기구뿐만 아니라 운영매뉴얼 준수 여부 등도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월미테마파크는 김홍섭 인천 중구청장의 부인이, 인근 다른 테마파크는 김 구청장의 동생이 각각 운영한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