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수면장애 따른 경기 도내 생산성 손실액 2조6,000억

국민들이 수면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생산성 손실액이 경기도만 2조6,000여억원이며, 전국적으로는 11조원이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내 수면 질환 유병자수는 매년 증가 추세로 지난 2016년 기준 88만3,000명이며, 진료비 손실은 1,178억 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016년 기준 근로자들의 수면장애로 인한 전국 생산성 손실액은 11조 497억원, 경기도 내 생산성 손실액은 2조6,470억 원인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외 수면산업 규모를 분석한 결과 미국 400억달러(45조 원), 중국 2,250억위안(38조원), 일본 8,600억엔(9조원)이다. 우리나라는 2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수면장애의 유병률 증가와 함께 양질의 수면욕구가 맞물려 수면산업이 미래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첨단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과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수면산업은 침대, 매트리스 등 단순히 전통적 가구산업에 의존했지만, 최근 IoT, ICT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첨단수면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어 향후 산업과 기술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방안으로는 수면산업 육성 위한 인프라 구축, 해외진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신기술 경쟁력 강화,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면산업 생태계 조성, 수면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적 지원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침대, 매트리스 등 수면산업 제품들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허가 기준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최근 논란이 된 라돈침대처럼 검증되지 않은 기능성 수면제품에 대해서는 의료기기에 준하는 수준으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