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7월의 독립운동가'에 여성 독립투사 연미당 선생 선정

7월의 독립운동가 여성독립투사 연미당 선생7월의 독립운동가 여성독립투사 연미당 선생



여성 독립운동투사인 연미당(1908.7~1981.1) 선생이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됐다.

연미당 선생은 1908년 7월 북간도 용정해관에서 태어났다. 선생의 부친 연병환은 북간도 청년들이 1919년 3월 3일 만세운동을 전개하자 배후에서 이를 지원하다 체포되어 2개월간의 옥고를 치른 후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공립학교인 인성학교를 졸업한 선생은 1927년 7월 청년 독립운동가 엄항섭과 결혼했다. 결혼 이후 남편 엄항섭을 내조하며, 자녀들의 교육 나아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역할을 맡았다.

관련기사



선생은 1927년 11월 상하이에서 결성된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에 참여한 데 이어 여성들의 독립운동 참여 독려와 역량 결집을 위해 ‘상해여자청년동맹’에서도 활동했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사가 상하이 훙커우(虹口) 공원에서 의거를 일으키자 선생은 일제 관헌들을 피해 가족을 이끌고 상하이를 탈출했다. 중국에서 폐결핵으로 고생하던 이동휘와 장사 남목청에서 피습당한 김구 선생을 간호했다.

1936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과 재건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1940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충칭에 정착하자 한국혁명여성창립동맹을 발족하고 애국부인회를 재건했다. 충칭 방송국에서 일본군 소속 한인 사병들을 광복군으로 전향시키기 위한 반일선전 활동도 전개했다. 선생은 광복 이후에도 중국에 있는 한인들을 보호하는 활동을 하다가 1946년 6월 3일 귀국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남편이 납북돼 생이별한 뒤 선생은 중풍으로 힘겨운 세월을 보내다가 1981년 1월 1일 순국했다.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