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원구성 협상 내주가 분수령…'제헌절 합의' 약속 지킬까

탐색전 마친 여야…3일 실무협상 본격화

협상 데드라인 17일…셈법 복잡해 미지수

민주·한국, 운영·법사·정보위 싹쓸이 전략

여야 4당 모두 노리는 기재·정무·산자위

국회 교섭단체 원내대표와 부대표들이 지난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하반기 원구성을 위한 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을 하며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평화와정의 윤소하,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 평화와정의 장병완,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바른미래 유의동, 윤재옥 원내수석 부대표./연합뉴스국회 교섭단체 원내대표와 부대표들이 지난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하반기 원구성을 위한 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을 하며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평화와정의 윤소하,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 평화와정의 장병완,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바른미래 유의동, 윤재옥 원내수석 부대표./연합뉴스



20대 후반기 국회 원구성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여야가 약속한 ‘제헌절(오는 17일) 합의’가 가능할지 주목된다. 여야는 다음주부터 원구성 협상을 구체화해 이른 시일 안에 결과물을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여야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6월27~28일까지 논의를 이어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사실상 탐색전 성격의 회동으로, 각 당은 당내 협상 전략을 짜는 데 주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는 주말 동안 별다른 만남을 갖지 않기로 하고 내주 협상을 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오는 3일 실무협상을 재개할 방침이다. 탐색전과 당내 이견 조율이 어느 정도 이뤄진 만큼 실무협상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여야 모두 원구성 협상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 70주년 제헌절 기념식에서 ‘식물 국회’란 비난을 받지 않으려면 국회의장단을 비롯해 상임위원장 배치까지 마무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 때문에 원구성 협상 1차 데드라인을 제헌절 이전으로 잡고 있다.

관련기사



여당은 한 발 더 나가 7월 초, 다음주 주말까지 원구성 협상에 도장을 찍자며 야당을 부추기고 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2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 모두 다음주 초 재개하는 원구성 실무협상을 최대한 빨리 매듭짓는 것이 급선무”라며 “7월 첫 째주라도 국회 문을 열고 민생을 챙기는 모습을 국민께 보여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도 ‘7월 초 마침표’에 힘을 실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원구성 협상이 7월 초에 마무리되길 희망한다”며 “상식과 원칙, 국회의 관행과 절차가 존중되고 여야 각 당이 역지사지로 임한다면 쉽게 타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실무협상을 위한 4개 교섭단체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이 지난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바른미래당 유의동(왼쪽부터), 자유한국당 윤재옥,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실무협상을 위한 4개 교섭단체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이 지난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바른미래당 유의동(왼쪽부터), 자유한국당 윤재옥,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그러나 여야 간 입장 차가 너무 커 일주일 만에 접점을 찾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핵심인 운영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정보위원회에 대한 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간 줄다리기는 여전히 팽팽하다. 민주당은 세 상임위원회 모두 여당이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국당은 권력 견제를 위해 3개 상임위 모두 사수해야 한다고 맞선다. 전반기 국회에서는 세 상임위원장 모두 한국당 몫이었다.

알짜 경제상임위인 기재위·정무위·산업통상자원위원회를 둘러싼 여야의 셈법도 복잡하다. 민주당·한국당·바른미래당 모두 경제 상임위 한 자리 이상을 챙겨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다른 상임위 배분도 세 경제상임위를 어느 당이 가져가느냐에 따라 바뀔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핵심 정책인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을 논의할 환경노동위원회도 어느 당이 가져갈지 관심이다.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은 내심 환노위원장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도 환노위원장 사수를 목표로 하고 있어 두 당 간 조율이 어떻게 이뤄질지 주목된다. 한국당·바른미래당·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등 야당 교섭단체 모두 국회 부의장을 노리고 있어 이를 둘러싼 야당 간 수 싸움도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