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다이캐스팅, 뿌리기술에서 첨단기술로 진화

특허출원, 中企가 주도

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이 2012년 핵심뿌리 기술로 선정된 이후 중소기업이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진공 다이캐스팅 관련 특허 출원은 2011년까지 연간 출원 건수가 약 10건에 불과했지만 2012년 24건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출원인별 동향을 보면 내국인이 전체 출원 비율의 약 87.7%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이 100건(64.9%), 개인이 21건(13.6%), 대기업이 17건(11.0%), 대학· 연구기관이 16건(10.4%)을 출원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주목할 점은 중소기업의 출원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08년부터 2011년 사이 중소기업의 출원은 전체 출원 중 48.8%를 차지했지만 2012~2017년에는 71.2%로 증가했다. 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이 핵심뿌리산업으로 지정되고 고품질 고부가가치 시장의 수요 증대로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뛰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이캐스팅 기술은 금형에 용융금속을 압입해 정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주조기술이다. 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은 주조품 내부의 기공 결함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기존 주조품과 달리 용접과 열처리가 가능하다. 자동차 및 정보기술(IT) 부품 제조에 적용할 수 있어 고정밀·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임영희 특허청 응용소재심사과장은 “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은 핵심뿌리기술이자 첨단 기술로서 향후 시장 선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을 조속히 권리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