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인 최영미 "아직 '괴물 주니어' 넘쳐나…미투 더 전진해야"

3일 서울시 성평등상 시상식

"우리 사회 변할 준비 돼있지만

악습 갑자기 사라지지는 않아"

‘미투’ 운동 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서울시 성평등상 대상 수상자로 선정된 최영미 시인이 3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시상식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미투’ 운동 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서울시 성평등상 대상 수상자로 선정된 최영미 시인이 3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시상식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직 ‘괴물 주니어’들이 넘쳐나요. 여성성을 팔지 않아도 생존할 수 있는 사회가 되려면 ‘미투’ 운동이 더 전진해야 합니다.”

서울시 성평등상 대상자로 선정된 최영미(57) 시인은 3일 시상식에 앞서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랫동안 존재했던 악습은 갑자기 사라지지 않는다”며 미투 운동의 확산을 강조했다.

최 시인은 “당분간 조심하는 분위기가 조성됐으니 미투 운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보수적인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며 “시 한 편으로 시끄러워졌다는 것 자체가 이 사회가 변할 준비가 돼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최 시인은 지난해 발표한 시 ‘괴물’에서 문단 내 성폭력과 남성 중심의 권력 문제를 폭로했다. ‘괴물’은 원로 시인인 고은이 상습적으로 벌인 성추행을 폭로한 시다.

관련기사



최 시인은 “‘괴물’을 썼을 때 오늘 같은 날이 오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10년 전에 써 (문단 성폭력 문제를) 청소해야 했다”고 전했다. 또 “내가 등단할 무렵에는 여성 시인을 기인으로 취급하고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지금은 조금 나아졌겠지만 아직 괴물 주니어들이 넘쳐난다”고 부연했다.

최 시인은 고은 시인의 시를 굳이 교과서에서 뺄 필요는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최 시인은 “그의 시에 생명력이 있다면 교과서에서 빼든 빼지 않든 살아남을 것”이라며 “오로지 시간이 말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성평등상 수상에 대해 최 시인은 “저 개인에게 주는 상이 아니라 자신의 아픈 목소리를 세상에 알린 모든 여성에게 주는 상이라고 생각한다”며 “미투를 지지해주신 분들께 감사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