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능산리 서고분서 건물지 발견…龍문양 소형 금제장식도 출토

100여년 만에 재발굴 완료

백제 왕릉급 무덤 자료 확인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초석건물지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초석건물지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제장식 /사진제공=문화재청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제장식 /사진제공=문화재청


1917년 일제강점기 이후 100여 년 만에 펼쳐진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14호) 서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 시대 고분군에서 확인된 바 없는 고분군 내 건물의 존재가 밝혀졌다. 건물은 무덤 조성과 관련된 임시 거처나 제사 관련 시설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용 문양이 들어간 작은 금제 장식도 출토됐다.

문화재청이 부여군과 함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으로 추진한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2016년 6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펼친 서고분군 4기에 대한 것으로, 문화재청은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의 입지와 조성과정, 초석건물지와 주거지 등에 대한 자료가 확보됐다고 4일 밝혔다.


특히 고분군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건물지가 확인됐는데 무덤이 조영되지 않은 서편 능선에서 4×2칸(추정)의 초석건물지 1기, 동편 능선의 1호분과 4호분 사이에서 수혈주거지 2기가 확인됐다. 이 건물들은 위치나 구조로 보아 무덤 조성과 관련된 임시 거처나 제사 관련 시설일 가능성이 높아 당시 상장례 연구에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서고분군은 1917년 조사 후 ‘능산리 왕릉군의 서쪽 소계곡 너머에 있는 능선에서 무덤 4기를 확인하고 그중 2기를 발굴하였다’는 간단한 기록과 4기의 고분 위치를 표시한 간략한 지형도만 남아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100여 년 만에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의 전모가 드러나게 됐다.

관련기사



유물은 도굴과 일제강점기 조사로 인해 거의 남아 있지 않았으나 2호분의 돌방 바깥의 도굴구덩이에서 도금된 금송제(金松製) 목관 조각과 금동제 관못, 금제장식 등이 나왔다. 특히 2호분에서 출토된 금제 장식은 길이 2.3㎝정도 되고 전체적인 형태는 끝이 뾰족한 오각형을 띠고 있어 부장품의 끝 부분으로 추정된다. 유물에는 용이 몸을 틀고 있는 형상의 문양이 장식되어 있어 특이하다.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3호분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3호분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에서 출토된 관고리 /사진제공=문화재청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에서 출토된 관고리 /사진제공=문화재청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능산리산(陵山里山)의 남사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3개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위치에 따라 각각 중앙고분군(왕릉군), 동고분군, 서고분군으로 불리며 일제강점기에 세 차례에 걸쳐 조사가 진행돼 15기의 무덤을 확인했다. 이후 중앙고분군의 정비복원 과정(1965~1966년)에서 2기의 무덤이 추가로 확인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17기가 남아 있다. 서고분군은 능선을 따라 위아래로 2기씩 배치되어 있는데, 중앙 능선에 2·3호분이, 동편 능선에 1·4호분이 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