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경연"직장인 여성 60% 결혼 원치 않아…자녀는 1명"

20~40대 직장인 여성 60%가 결혼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출산 자녀수도 1명을 겨우 넘는 수준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도 여성들이 느끼는 소득과 고용에 대한 불안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20~40대 여성 근로자 51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상적 자녀수로 ‘2명’(63.2%)을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는 평균 1.2명에 불과했다. ‘1명’(47.9%), ‘2명’(33.9%) 순으로 조사됐으며 낳지 않겠다(‘0명’)는 응답도 15.5%에 달했다.

낳고 싶은 자녀수와 현실적 자녀수간 괴리는 경제적 이유가 크다. 직장 여성들은 ‘소득 및 고용 불안’(30.6%), ‘사교육비 부담’(22.3%) 등을 저출산 원인으로 꼽았다.


미혼 직장 여성인 중 향후 결혼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39.4%만이 ‘앞으로 결혼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결혼하지 않을 것’(26.3%), ‘모르겠다’(34.3%) 등 결혼계획이 없는 응답은 60.6%에 달했다.

관련기사



한경연 관계자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 결혼계획이 없거나 잘 모르겠는 이유로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가 4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20.6%), ‘일·생활 균형이 어려운 사회·근로환경 때문’(11.4%) 순으로 조사됐다.

저출산 문제 해결은 결국 일·생활의 균형과 조직 문화 개선에 달려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가장 필요한 정부 저출산 정책으로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80.0%)를 1순위로 꼽았다. 기업의 노력 측면에서는 ‘출산·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 개선’(42.3%), ‘유연근무제, 임산부 단축근무제 등 시행’(25.2%) 등이 요구됐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여성 근로자들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소득과 고용 불안을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볼 때 정부는 기업이 더 많은 여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들도 저출산 해소와 여성인재 활용을 위해서는 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에 힘써야한다”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