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만성질환 만드는 생물막, 착한 박테리아가 분해

UNIST 로버트 미첼 교수팀, 포식성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리학적 특성 규명

벨로(왼쪽)와 벨로가 그람음성균을 공격하는 모습. /사진제공=UNIST벨로(왼쪽)와 벨로가 그람음성균을 공격하는 모습. /사진제공=UNIST



포식성 박테리아가 병원균이 만드는 ‘생물막(Biofilm)’을 분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병원균의 생물막을 제거하면 감염질환 치료가 수월해진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생명과학부 로버트 미첼(Robert J. Mitchell) 교수팀은 포식성 박테리아 벨로가 그람양성균의 생물막을 제거하고 이를 영양분으로 삼는다는 것을 밝혔다고 5일 공개했다.


세균은 그람염색을 통해 크게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된다. 그람양성균은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했을 때 보라색을 띠는 세균이다. 대표적인 그람양성균으로는 폐렴균, 포상구균, 연쇄상구균, 탄저균, 나병균, 디프테디라균, 파상풍균 등이 있다. 그람음성균은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했을 때 붉은색을 띠는 세균이다. 살모넬라균, 이질균, 티푸스균, 대장균, 콜레라균, 임균, 수막염균, 스피로헤타 등이 대표적이다.

벨로는 그람음성균을 잡아먹고 살아가는 박테리아다. 벨로는 우리 몸에 해로운 병원균을 잡아먹으면서도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특성을 가져 ‘살아있는 항생제’로 주목 받고 있다. 다만 벨로는 그람양성균은 잡아먹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지금까지 그람음성균에만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던 벨로의 새로운 생리학적 특성이 규명된 것이다.


미첼 교수팀은 벨로의 특성에 대한 빈틈을 메우고자 그람양성균과 벨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진은 대표적 그람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을 이용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포식성 박테리아가 단백질 분해효소를 통해 포도상구균이 형성한 생물막을 분해하고 이를 영양분으로 삼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어진 실험에선 이렇게 영양을 확보한 벨로가 전보다 활발하게 그람음성균을 잡아먹는다는 것도 밝혀졌다.

관련기사



우리 몸에 상처가 생기거나 감염이 진행될 때, 세균들은 집단을 이뤄 생물막을 형성한다. 단백질, 지질 등으로 구성된 생물막은 항생제 내성을 높이고 약효를 막아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감염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이 생물막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제1 저자인 임한솔 UNIST 박사는 “생물막을 분해하면 항생제 및 약제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감염질환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며 “지금까지 벨로는 그람음성균을 잡아먹는 과정에서 이들의 생물막을 자연스레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그람양성균의 생물막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그람양성균에 대한 생물막 분해 효과를 검증하면서 감염치료에 있어 벨로의 활용범위가 넓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는 벨로 자체로 대응하고, 그람양성균에 대해서는 벨로를 통해 생물막을 제거한 뒤 항생제 등을 활용해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로버트 미첼 생명과학부 교수는 “박테리아의 생물막은 인체 내 감염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관이나 수조 등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며 “벨로의 미생물막 분해 효과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으로 생물막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활용할 분야가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