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포스트 싱가포르' 워킹그룹 가동…비핵화 후속협상 총괄

성 김 대북 협상 뒷받침할 예정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이 지난 6일(현지시간) 평양 백화원영빈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후 백화원영빈관 밖으로 나와 동행한 리사 케나 장관비서관(왼쪽부터), 알렉스 웡 동아태 부차관보, 성 김 주필리핀 미국 대사,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등과 회의를 가진 뒤 함께 다시 백화원영빈관 안으로 들어가고있다.      /평양=AP연합뉴스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이 지난 6일(현지시간) 평양 백화원영빈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후 백화원영빈관 밖으로 나와 동행한 리사 케나 장관비서관(왼쪽부터), 알렉스 웡 동아태 부차관보, 성 김 주필리핀 미국 대사,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등과 회의를 가진 뒤 함께 다시 백화원영빈관 안으로 들어가고있다. /평양=AP연합뉴스



미국 국무부는 북한 비핵화 관련 후속 협상을 총괄할 ‘포스트 싱가포르’ 워킹그룹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성명을 발표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싱가포르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부합하는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국무부의 구상과 정책, 이행 및 검증 노력을 총괄하는 데 전념할 포스트 싱가포르 정상회담 워킹 그룹을 꾸렸다고 밝혔다. 후속협상 국면에서 핵 리스트 신고 및 사찰과 검증, 이행 등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의 성격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비핵화 로드맵 도출을 위한 구체적 논의 내용은 향후 워킹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실무협상에서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나워트 대변인은 렉스 웡 동아태 부차관보, 벤 퍼서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부차관보, 마크 램버트 한국 담당 부차관보 대행(한국 과장)과 그 밖의 인사들이 전체 부서의 전문적 역량을 결집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워킹그룹은 성 김 주 필리핀 미국 대사가 진행 중인 북한과의 협상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나워트 대변인은 덧붙였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