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바이오기술(BT) 열풍, 화장품에도 분다

셀(cell), 바이오(bio), 더마(derma) 포함 상표 출원 급증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바이오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최근 ‘화장품’ 산업에 바이오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화장품 업계는 ‘동안’과 ‘안티에이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발맞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능성 성분의 제품임을 강조하는 화장품 상표를 활발히 출원하고 있다.

9일 특허청에 따르면 화장품 분야에서 바이오 관련 상표는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6,407건이 출원돼 이전 5년(2008~2012년)간 출원한 2,484건 대비 2.57배 증가했다. 바이오 관련 상표란 제품에 바이오기술(BT)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구인 바이오(bio)·셀(cell)·더마(derma)·메디(medi)·닥터(dr.) 등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상표를 일컫는다.

화장품 전체 출원 중 바이오 관련 상표 비율은 2013년 5.7%, 2014년 6.6%, 2015년 6.6%, 2016년 7.8%, 2017년 8.3%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년 간 상표 출원 비중을 보면 셀(cell)이 2,22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세포재생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와 ‘셀트리온(CELLTRION)’, ‘셀더마(CELDERMA)’와 같은 화장품 브랜드의 론칭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다음으로 닥터(dr.) 1,862건, 바이오(bio) 1,451건, 랩(lab.) 1,404건, 메디(medi) 873건, 더마(derma) 871건, 나노(nano) 202건 순으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이 지난 10년간 총 373건을 출원해 최다 출원을 기록했으며 아모레퍼시픽(319건), 해브앤비(134건), 엘앤피 코스메틱(62건), 에이피알(60건), 셀트리온(58건),코리아나화장품(52건) 등의 순이었다. 다출원 기업 10곳 중 9곳이 국내기업이다.

지난 10년간 내국인 출원건수는 7,454건으로 외국인 출원건수(911건수)를 압도했다.

박양길 특허청 상표심사2과장은 “최근 의약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성분으로 제조한 화장품인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제품의 인기를 감안할때 바이오 관련 상표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될 것”이라며 “화장품 기업들이 바이오 상표에 대한 세심한 브랜딩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