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협, "노후화로 철거해야" vs 상인, "구시장 보존가치 높아"

수협, "낡은 시장 환경 국민 건강 위협해"

상인, "구 시장 보존가치 높아...시장 구조도 효율적"

강제집행 또 시도한다는 수협...사태 장기화 조짐

12일 오전 명도소송강제집행이 실시된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명도집행관계자들과 구시장 상인 등이 충돌하고 있다./연합뉴스12일 오전 명도소송강제집행이 실시된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명도집행관계자들과 구시장 상인 등이 충돌하고 있다./연합뉴스



서울 동작구 노량수산시장 현대화를 두고 수협과 상인 측 의견이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수협 측은 낡은 시장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며 구 노량진수산시장 강제 집행에 나선 반면 상인 측은 구 시장의 보존가치가 높다며 물러서지 않는 형국이다.

수협 측은 12일 오전 7시30분께 법원 집행관 등과 동행해 구 시장 이주 거부 상인 95명을 대상으로 명도 강제집행에 나섰다. 하지만 이전을 거부하는 상인과 민주노점상전국연합회 등 수백 명이 이를 막아서며 수협 측은 이날 오전 9시30분께 철수했다. 강제집행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수협은 ‘국민 안전’과 ‘법원 판단’을 근거로 구 시장 강제 집행에 나섰다. 수협 관계자는 “지난해 불꽃축제 기간 추락 사고와 최근 대규모 정전까지 발생하는 등 낡은 시장 환경이 국민 안전을 위협한다”며 “원만한 해결을 위해 서울시 중재 협상을 포함해 50여 회 이상 만났지만 일부 상인들이 ‘구시장 존치’만을 요구해 갈등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부 구시장 상인으로 이뤄진 ‘현대화비생대책총연합’이 최근 민주노점상전국연합과 연대해 시장을 불법 점유하면서 공공질서를 어지럽히고 시민 안전까지 위협했다”며 강제집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협 측은 현재 구 시장 상인 358명을 대상으로 한 명도소송에서 178명에 대해서는 대법원 3심까지 승소한 상태다. 이날 강제집행이 시도된 점포 95곳은 대법원 선고까지 받아 확정판결이 난 곳으로 법원에서 강제집행 예고장까지 배부했다.

관련기사



반면 구 시장 상인들은 기존 시장이 보존가치가 높고 영업하기에도 효율적이라 유지·보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헌주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비대위원장은 “노량진 수산시장은 전통시장으로 기존 모습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며 “게다가 구 시장은 단층 건물로 수산시장 용도에 맞게 자연 채광과 통풍은 물론 물류가 드나들기에 최적”이라고 주장했다.

구 시장 상인들은 기존 시장 보존에 사활을 걸겠다는 입장이다. 윤 비대위원장은 “향후 강제집행에 대비해 민주노련과 협력을 강화하고 국회 일부 정당과 접촉해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한편 수협은 “법원 판결 등 상황 추이를 지켜보고 강제집행을 계속 시도할 것”이라며 “건물 노후화로 안전사고 위험이 큰 구조물을 폐쇄하고 철거하는 작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구 시장 상인과 수협 측 갈등이 장기화 될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세워진 지 48년이 된 노량진수산시장은 이전부터 시설 노후화 등이 지적돼 2004년부터 국책 사업으로 현대화가 추진됐다. 2009년 4월 시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현대화사업 기본계획 설명회가 열렸고 시장 종사자 투표 결과 판매 상인 80.3%·중도매인조합 73.8%가 사업에 동의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