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권오준, “철강업 성장판 닫히고 있다”한 이유는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지 않겠지만 철강만으로 더는 성장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 포스코 창립 50주년 기자간담회 자리.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철강업의 성장판이 닫히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4년간의 구조조정 끝에 지난해 매출 60조원, 영업이익도 6년 만에 최대인 4조6,000억원을 달성하며 시장의 기대가 크던 상황이었는데도 말이죠.


권 회장이 발언 배경엔 글로벌 공급 과잉 문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조강(쇳물) 생산능력은 22억7,000만톤에 달합니다. 하지만 조강 수요는 17억2,000만톤에 그칩니다. 전 세계 철강사가 생산능력을 30% 감축해야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다는 얘기입니다.

글로벌 공급 과잉 문제의 중심에는 중국이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조선·건설 등 철강을 다량 요구하는 산업이 불황을 겪는 와중에도 중국은 설비를 증설했습니다. 2008년 6억톤 수준이던 생산능력을 11억톤까지 끌어올렸죠. 생산능력이 수요를 웃돌자 사달이 났습니다. 과잉 상태의 설비를 돌리다 보니 중국산 철강재가 저가로 전 세계에 퍼져 글로벌 철강 가격을 낮춘 것입니다. 철강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의 철강 기업은 대부분이 국영기업이다. 자국 근로자의 일자리가 달려 있는 만큼 적자를 보더라도 공장을 일단 돌리고 본다”고 설명합니다. 최근 중국이 자국 제조업 위축 등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고는 있지만 공급 과잉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철강 수요는 수년째 답보 상태입니다. 국내 강재 소비량은 5,640만톤으로 2015년 5,580만톤, 2016년 5,710만톤에 이어 5,500만톤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조선 등 주요 수요 산업은 지난해에 이어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경기에도 적색등이 켜졌습니다. 주택경기 하락에 따른 수주 감소에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지난해보다 14% 감소한 19조원에 그치는 등 공공투자 축소 기조까지 관측됩니다. 이처럼 수요는 정체됐는데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 리스크는 여전하니 국내 판매를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밖으로 눈을 돌려봐도 탈출구를 찾기 쉽지 않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중국산 물량이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시장을 잠식한 탓이죠. 중국의 물량공세에 자국 산업이 고사 위기에 처하자 각국이 무역장벽을 쌓아올리면서 상황은 더욱 나빠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발동한 게 대표적입니다. 수입산 철강재를 막기 위해 사문화된 법까지 동원해 보복관세를 매기기 시작한 겁니다.

관련기사



미국발 보호무역주의는 전 세계에 도미노처럼 확산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최근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자국 업계의 피해를 막기 위해 외국산 철강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313만톤(약 3조원) 규모의 수출시장도 문제지만 향후 다른 나라가 무역전쟁에 동참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골칫거리입니다. 유럽이 핵심 수출 시장이던 터키 등이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빗장을 걸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국내외 시장에서 활로를 찾기 어려운 한국 철강에 남은 선택지는 고부가가치화 정도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또다시 한국의 발목을 잡으려 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정부는 “세계 철강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자국의 대형 철강 업체들을 합병시키며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보산강철’과 ‘무한강철’ 두 대형 철강사를 통합해 세계 2위 철강 업체 ‘보무강철’을 탄생시킨 중국은 오는 2025년까지 자국 내 대형 철강사들을 8,000만톤급 3~4곳, 4,000만톤급 5~8곳으로 통폐합할 예정입니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된 신생 대형 철강 업체들은 자동차 강판 등 고급 철강재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 업계의 시각은 이렇습니다. “중국 철강사는 예외 없이 국영기업이라 투자가 확실히 뒷받침된다. 지금은 유럽(아르셀로미탈)·일본(신일본제철)·한국(포스코)이 기술력에서 앞서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뒤 중국 정부가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면 격차가 생각보다 급격히 줄어들 것이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