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조사받는 피의자도 메모 허용

법무부, 검찰사건사무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검찰에서 신문을 받을 때 변호인은 물론 피의자도 메모를 하며 조사받을 수 있게 된다.

법무부는 신문 과정에서 피의자와 변호인의 수기(手記) 기록을 허용하는 내용의 검찰사건사무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했다고 17일 밝혔다.


개정안은 피의자와 변호인이 신문 받을 때 기억을 환기하기 위해 수기로 기록하는 것을 검사가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다만 촬영·녹음이나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를 이용한 기록은 금지된다. 신문이 끝나고 조서 내용을 옮겨 적어도 안 된다.

관련기사



이같은 메모 허용 방침은 변호인 조력권과 피의자의 자기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현행 규칙은 변호인에게만 간략한 메모를 허용하고 있다. 피의자의 경우 메모가 가능한지 명문 규정이 없지만, 수사관행에 따라 사실상 허용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피의자가 방어권을 제대로 행사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대검찰청 검찰개혁위원회는 지난해 10월 피의자도 수기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라고 권고했다. 위원회는 변호인이 피의자 뒤쪽이 아닌 옆자리에 앉아 조언할 수 있게 하라고도 권고했다. 헌법재판소는 지난해 11월 ‘변호인 후방착석’의 근거가 된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 운영 지침’이 헌법에 어긋난다고 결정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