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디벨로퍼, 그들이 바꾼 도시] 김동기 하이랜드 대표 "도시재생서 주민참여 유도..디벨로퍼 역할이죠"

기획단계서 노하우·아이디어 제공

공공·민간·학계 거버넌스 형성을

김동기 하이랜드㈜ 대표 / 이재명기자



도시재생은 언뜻 디벨로퍼와는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고쳐쓰기와 새로 짓기, 공익과 사익으로 대립하는 이미지다. 하지만 골목을 정리정돈하고 페인트칠만 해주는 도시재생만으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현실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김동기(사진) 하이랜드㈜ 대표는 디벨로퍼의 역량이 도시재생을 성공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마을 만들기’ 개념에서 주민의 참여를 끌어내는 부분에 디벨로퍼가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콕 집었다. “도시가 쇠퇴했을 때 주민참여가 가장 중요한데 마을을 새로 만드는 것처럼 다시 만드는 것도 디벨로퍼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한국부동산개발협회(KODA) 호남지회장 자격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 활성화를 위한 포럼 및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다. 지난 17일에도 ‘도시재생 뉴딜 활성화계획의 사업화 방안’ 학술세미나에 참석해 거버넌스 형성에 역할을 했다. 또한 지난해에는 ‘뉴욕 도시재생과 복합시설 견학 세미나’에 참석할 만큼 디벨로퍼가 주도하는 선진 도시재생을 연구 중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아직 국내 도시재생사업은 공식적으론 민간 디벨로퍼가 시행자로 참여할 순 없다. 선진 도시재생 사례와 같이 디벨로퍼는 주택, 상가 분양에 머물지 않고 도시재생 대상지를 고쳐 개발하고 운영, 관리하면서 주민이나 상인과 이윤을 나누는 사업 모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000년대 일본의 롯본기힐스나 오모테산도 힐스처럼 민간 디벨로퍼가 참여해 낙후한 도심을 재생한 바 있다.

그는 “도시재생은 결국 공공과 민간, 학계가 함께 만들어가는 거버넌스가 형성되야 한다”면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초기 단계라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협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현재는 기획 측면에서 디벨로퍼의 노하우를 발휘해 좋은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가 사업을 시작한 광주 지역의 도시재생에 관심이 크다. 광주시는 근대사 특성을 바탕으로 전남방직, 국군통합병원, 광주시청, 송정역 등 많은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됐으며 현재 추진 중이다. 그는 나고 자란 광주 지역에 도시재생 기회가 주어진다면 그간 모든 경험을 집약해 참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