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獨 다임러車 대당 판매이익 세계 1위

5,228달러로 도요타의 2배

BMW 2위·스바루 3위 올라

"브랜드파워가 수익 좌우 입증"

벤츠 S클래스 /AFP연합뉴스벤츠 S클래스 /AFP연합뉴스




2415A12 글로벌 자동차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 가운데 대당 판매이익이 가장 높은 것은 독일 다임러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임러가 차량 한 대를 판매하면서 올리는 이익은 5,228달러로 4위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비교해도 약 2배에 달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해 연간 판매대수 100만대 이상 주요 자동차 업체를 대상으로 수익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보도했다. 2위는 대당 4,983달러의 이익을 낸 독일 BMW가 차지했으며 일본 스바루가 3위에 올랐다. 스바루는 판매대수가 106만대 규모로 적은 편이지만 판매장려금을 경쟁사보다 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익성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의 대표 자동차 업체인 도요타는 2,623달러였으며 폭스바겐(1,849달러)이 그 뒤를 이었다.


미국의 신차 평균가격은 다임러 5만8,000달러(약 6,541만원), BMW 5만1,000달러(약 5,752만원)로 도요타자동차보다 60%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신문은 이번 분석 결과 브랜드파워의 격차가 수익력의 차이를 낳는다는 점이 뚜렷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5위권 밖에서는 중국 지리자동차가 일본 혼다와 어깨를 나란히 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2010년 스웨덴 볼보를 인수한 지리자동차는 볼보의 개발기술을 발판으로 삼아 신차 판매를 늘리며 대당 1,500달러가량의 이익을 올리고 있다. 반면 중국제일기차는 판매대수가 334만대에 달하지만 대당 이익은 4달러에 그친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자율주행과 전자화, 커넥티드카 등 첨단기술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막대한 투자비용에 따른 ‘규모의 경제’가 중요해지고 있면서 앞으로는 브랜드파워뿐 아니라 제휴전략의 성패가 회사의 이익을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