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조명균 “북한 완전한 핵 폐기 이전이라도 종전선언 가능”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4일 북한이 완전한 핵 폐기를 하기 이전이라도 종전선언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 핵 폐기 전까지 종전선언은 없다’고 말한 적이 있느냐는 정병국 바른미래당 의원의 질의에 “그렇게 언급한 적 없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 이전이라도 (종전선언이) 핵 폐기를 오히려 추동해 나갈 수 있다”며 “북한이 비핵화와 관련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취해 나간다면 종전선언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북한의 ‘진정성 있는 비핵화 조치’ 사례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이날 보도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부분 해체를 들었다.

관련기사



다만 서해위성발사장 폐기가 종전선언의 조건이 될 수 있느냐는 정 의원의 질문에는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면서 “이걸 하면 이걸 한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답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23일(현지시간)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체작업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38노스는 지난 20일 촬영된 위성사진에서 궤도 위에 설치된 구조물, 인근의 엔진시험대 등에 대해 해체작업을 시작하는 모습이 포착됐고 이어 22일 찍힌 위성사진에서는 해체된 구조물들이 바닥에 놓여있는 장면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곧 폐기하겠다’고 약속한 미사일 엔진 시험장을 서해위성발사장으로 지목해 왔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