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VOA "北, 대륙간탄도미사일 조립시설도 해체한 듯"

해체·조립 쉽게 할 수 있는 시설 추정…완전한 해체인지는 두고 봐야

미국의소리(VOA) 방송의 25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평양 인근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조립시설 역시 최근에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시설은 과거에도 사흘 만에 해체와 조립을 반복했던 모습이 관측된 바 있어 완전한 해체인지는 아직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방송은 전했다./출처=연합뉴스미국의소리(VOA) 방송의 25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평양 인근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조립시설 역시 최근에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시설은 과거에도 사흘 만에 해체와 조립을 반복했던 모습이 관측된 바 있어 완전한 해체인지는 아직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방송은 전했다./출처=연합뉴스



미국의소리(VOA) 방송의 25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평양 인근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조립시설 역시 최근에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시설은 과거에도 사흘 만에 해체와 조립을 반복했던 모습이 관측된 바 있어 완전한 해체인지는 아직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방송은 전했다.

VOA는 위성사진 서비스 업체 ‘플래닛(Planet)’이 이달 20일, 21일, 24일 평안남도 평성에 있는 ‘3월16일 자동차 공장’ 일대를 촬영한 사진을 지난달 30일 촬영된 사진과 비교한 결과 미사일 조립시설이 없어졌다고 밝혔다. 사진을 통해 보면 고층 구조물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이는 조립시설 옆 대형 그림자도 사라졌다.


VOA에 따르면 세로와 가로가 각각 약 35m와 15m, 높이 약 30m의 ‘3월16일 공장’ 부지 건물에는 과거 크레인으로 보이는 구조물이 옥상 부분에 설치돼 있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1월 29일 발사된 북한의 ICBM급 미사일 ‘화성-15형’이 이 조립시설을 이용해 미사일 이동식발사차량(TEL)에 탑재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위성사진 분석가이자 군사전문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도 해당 조립시설이 더는 보이지 않는다는 데 동의했다고 VOA는 전했다.

관련기사



그는 “조립시설을 찍은 사진만 보면 해체인지, 개선작업인지 알 수 없지만 만든 지 2년밖에 안 된 엔진 실험장에서도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볼 때 해체 작업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시설이 설치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언제든 다시 지을 수 있는 상태일 것으로 추정하며 “아직 발사대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이 되지 않는다. 좀 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앞서 23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위성사진을 통해 평안북도 동창리에 위치한 서해위성발사장의 발사대를 비롯한 일부 구조물이 해체됐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북한의 군사시설 해체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약속한 비핵화 시행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