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심근경색·협심증발 우울증' 치료하면 심근경색 재발위험 절반↓

김재민 전남대 의대 교수팀, JAMA에 발표

심근경색증·협심증 등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에 동반된 우울증을 치료하면 심근경색증 등 재발 위험을 절반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민 전남대 의대 교수팀이 25일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발표한 논문에서다.

김 교수팀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따른 우울증 환자 300명(평균 60세)에게 에스시탈로프람 성분의 항우울제 또는 가짜 약을 24주 동안 복용시킨 뒤 8.1년(중앙값) 동안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항우울제 복용군의 주요 심장사건 발생률은 40.9%로 가짜 약 복용군(53.6%)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심장원인 사망률(10.7% vs 13.2%), 심근경색증 발생률(8.7% vs 15.2%),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까지 풍선 카테터(도관)를 밀어넣어 넓혀주거나 혈전을 뚫어주는 시술 발생률(12.8% vs 19.9%)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관련기사



항우울제 복용군에서 이 같은 불상사가 발생할 위험은 가짜 약 복용군보다 꽤 낮았다. 심근경색증은 0.54배, 관상동맥 시술은 0.58배, 주요 심장사건 발생은 0.69개, 심장원인 사망은 0.79배였다.

(출처: 서울아산병원)(출처: 서울아산병원)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심장동맥)이 혈전 등으로 막힌 상태가 수십분 이상 이어져 안정·수면 중에도 심한 가슴통증을 느끼거나 막힌 혈관 영역의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것을 말한다. 심한 경우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 있다.

죽음의 공포를 경험한 뒤 우울증이 생기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관상동맥질환과 우울증을 함께 앓으면 우울증이 없는 환자보다 심근경색증 등이 재발하거나 이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3∼4배 높아진다.

김재민 교수는 “심각한 신체질환에 동반되는 외상후증후군 치료가 신체질환 예후까지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