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침밥 거르고, 매일 회식자리"…한국 남성 42.3% 비만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비만율이 42.3%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미지투데이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비만율이 42.3%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비만율이 42.3%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전체 성인 남녀로 보면 3명 중 1명꼴로 비만이었다.

2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성인 남성 비만율은 2005년 34.7%에서 2016년 42.3%까지 증가했다. 이 기간 여성 비만율은 27.3%에서 26.4%로 소폭 줄었다. 남성의 경우 절반 가까이인 45.8%가 하루 1회 이상 외식하고, 32.4%가 아침을 거르는 등 식습관이 좋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성의 하루 1회 이상 외식률과 아침 결식률은 각각 18.3%와 26.4%로 남성보다 낮았다. 전체 한국 성인남녀 비만율은 34.8%로 2005년(31.3%)보다 3.5%포인트 늘었다.


평균 비만율에서는 남성이 앞섰으나 고령층을 비교하자 결과는 반대였다. 나이가 들수록 남성의 비만율은 감소하는 반면 여성은 오히려 증가했다. 남성 비만율은 50대(39.7%)에서 60대(39.7%), 70세 이상(30.3%)으로 갈수록 떨어졌으나 여성은 50대(32.5%), 60대(40.7%), 70세 이상(42.2%)으로 높아졌다.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지방이 더 쉽게 축적되고 폐경 이후에는 여성호르몬 감소로 근육이 더 줄어들면서 주로 지방조직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체질량지수 30 이상인 고도비만율이 높았다. 전체 고도비만율은 2015년 기준 5.3%로 집계됐다. 최저 소득층인 건강보험료 1분위 남성의 고도비만율은 6.55%였으나 20분위 소득층은 4.89%로 평균을 밑돌았다. 여성 역시 최저 소득층의 고도비만율은 4.42%, 20분위 소득층은 2.22%였다. 건강보험료 분위는 보험료를 적게 낼수록 1에 가깝고, 많이 낼수록 20에 가깝다. 20에 가까울수록 소득과 재산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고도비만 인구는 계속 증가해 2030년에는 10명 중 1명꼴인 약 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고도비만율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지난 20년간 청소년 비만이 급속히 늘어난 데 기인한다.

관련기사



청소년의 비만율은 2008년 11.2%에서 2017년 17.3%로 급격한 상승 추세다. 이는 기본적으로 신체활동에 쏟는 시간은 적은 데 비해 햄버거, 피자, 튀김 등 고열량·고지방 음식 섭취가 늘어나는 탓이다. 과일이나 채소 섭취율도 떨어지고 있다.

주 3일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격렬하게 신체활동을 하는 비율은 초등학생에서는 58.3%였으나 중학생에서는 35.7%로 떨어졌다. 고등학생은 24.4%에 불과해 4명 중 1명만이 주 3일 이상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업 시간 연장, 사교육 등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신체활동 기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신체활동이 부족해지고 학업에 시달리면서 간편한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비율 역시 고학년일수록 높아졌다. 고등학생의 80.47%가 주 1회 이상 피자,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응답했다. 초등학생은 68%, 중학생은 78.5%다.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경향은 성인과 동일했다. 최저소득층(1분위)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12.1%로 최고소득층(5분위)의 9.7%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