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10·20대 화병(火病) 환자 급증…'헬조선 키즈'

김광수 의원 심평원 자료 분석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Hwa-byung' 고유명칭

최근 5년간 10∼20대 화병(火病)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미지투데이최근 5년간 10∼20대 화병(火病)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미지투데이



최근 5년간 10∼20대 화병(火病)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최근 5년간 화병환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속이 답답하고 울컥 화가 치밀어 오르는 ‘화병’(상병코드 : U222) 환자가 10대와 20대에서 증가 곡선을 그렸다.

2013년 293명이던 10대(10∼19세) 화병환자는 작년 602명으로 105% 늘었다. 20대(20∼29세) 환자도 2013년 767명에서 작년 1,483명으로 93.4%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세 이하(0∼9세) 화병환자가 79명에서 104명으로 31.6%, 30대(30∼39세) 화병환자는 1,534명에서 1,844명으로 20.2% 느는 데 그친 것과 상반된다.

관련기사



특히 같은 기간 40대(40∼49세) 화병환자는 2,535명에서 2,083명으로 17.8%, 50대 화병환자는 3,960명에서 3,114명으로 21.4%, 60세 이상 화병환자는 4,806명에서 4,642명으로 3.4% 각각 줄어든 것과 비교된다. 청소년과 청년층 화병환자의 증가세가 더욱 뚜렷하다는 뜻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는 화병의 영문명을 우리 발음대로 ‘Hwa-byung’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미지투데이미국 정신의학회에서는 화병의 영문명을 우리 발음대로 ‘Hwa-byung’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미지투데이


미국 정신의학회에서는 화병의 영문명을 우리 발음대로 ‘Hwa-byung’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스트레스가 많을 때 답답함과 무기력, 가슴 두근거림, 온몸이 쑤시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증상이 반복되면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간헐적으로 욕설이나 폭력, 심한 짜증도 동반한다.

김광수 의원은 “입시·군대·취업·결혼 등 생활 속의 많은 스트레스를 안고 사는 10대와 20대 화병환자의 증가는 현시대 우리 청년들의 고된 삶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욱해서, 홧김에 저지르는 살인·방화·보복운전 등 이른바 분노조절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범죄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며 “청소년과 청년 화병에 대한 예방과 체계적인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신경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