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보물선' 어설픈 해명...의혹만 키운 신일그룹

금괴 존재여부 의문 해소못하고

추정 액수 10조대로 대폭 낮춰

26일 기자간담회에서 최용석 신일그룹 대표가 질의를 듣고 있다./권욱기자26일 기자간담회에서 최용석 신일그룹 대표가 질의를 듣고 있다./권욱기자



신일그룹이 돈스코이호 인양을 둘러싼 각종 논란을 해소하겠다며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오히려 의혹만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괴의 존재 여부는 이전보다 더욱 불투명해졌으며 암호화폐를 둘러싼 의혹도 해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용석(사진) 신임 신일그룹 대표는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장 탐사원이 단단한 밧줄로 고정된 여러 개의 상자묶음을 확인했다는 보고가 있었다”며 “지금까지 자체 파악한 역사자료, 많은 업체가 돈스코이호의 발견을 위해 자본을 투입한 것을 미뤄 생각할 때 의미 있는 재산적 가치가 충분한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괴의 실존 여부를 두고는 의문이 제기된다. 실제 잠수에 참여했다는 제프리 엘 히톤 뉴트코 잠수정 파일럿과 더글러스 제이 비숍 뉴트코 잠수정 파일럿은 “갑판을 전부 커버하지는 못했다(We did not get full coverage on the deck)”면서도 “어떤 박스도 보지 못했다(I did not see any boxes)”고 말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최 대표는 금괴의 추정 액수를 기존 150조원에서 10조원으로 대폭 낮췄다. 또 신일골드코인을 발행하는 싱가포르 신일그룹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신일골드코인은 싱가포르 신일그룹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당사와는 무관하다”며 “신일그룹은 지난 6월1일 돈스코이호에 관한 다큐멘터리 제작을 목적으로 탐사하고 탐사 후 돈스코이호가 발견되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인양까지 진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라고 주장했다.

법인명이 같아 발생한 단순 오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같은 해명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신일그룹은 공식 홈페이지에 신일국제거래소와 신일골드코인 등을 계열사라고 표기해왔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