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태호 수석 "현장서 기업인과 소통…일자리 10만개 만들 것"

靑 SNS 라이브방송서 강조




정태호(사진)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일자리를 위해 중요한 것이 현장에서 기업인들을 만나는 것”이라며 “동맥경화를 확 뚫어주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밝혔다.

정 수석은 27일 청와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라이브방송인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에 출연해 “연말이 되면 조선업 구조조정이 끝나 고용이 증가할 수 있고 자동차 산업 역시 개별소비세 인하와 맞물려 소비가 늘면서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라며 “도소매업에서도 일자리 감소 폭이 줄어들고 있다. 좋은 신호”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67% 수준인 고용률을 견조하게 유지하며 이런 ‘노멀’한 수준에서 10만개의 일자리를 더 보태겠다는 것”이라며 “기업이나 근로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일자리 만들기에) 막혀 있는 부분이 많다. 이를 뚫어주는 게 제 역할”이라고 말했다. 정 수석은 “제 이름을 걸고서라도 일자리 10만개 정도를 더 만들어야겠다는 각오”라며 “불가능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세금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가 마땅히 책임을 지고 해야 할 일”이라며 “없는 돈도 만들어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인구구조상 오는 2021년까지 청년 인구가 늘고 그 이후에는 급감하는데 결국 2021년까지 탈출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무원을 늘리는 한시적 대책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정 수석은 “5년간의 한시적 대책이니 재정 문제와도 상관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 수석은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으로 확산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광주형 일자리의 경우 지역의 일자리를 만드는 핵심 정책 중 하나”라며 “이런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으로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