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토요워치] 日 "2030년까지 수소차 80만대 운행"

中 중앙·지방정부 100만위안 더블 지원

獨 충전소 설치·운영비 절반 정부서 부담

2815A02 2030주요국수소경제계획



지난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 13개사 대표들은 오는 2050년 전 세계 수소경제 규모가 2조5,000억달러(약 2,81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수요의 5분의1을 차지하면서 관련시설은 물론 일자리 창출 등 경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자 전 세계 각국이 앞다퉈 수소에너지 촉진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중국·독일 등은 이미 국가 에너지 계획에 수소사회를 명시하고 민관협력을 통해 산업을 키우는 데 주력하고 있고 수소차 업체들도 차세대 친환경차량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수소사회 전환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일본이다. 일본 정부는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수소연료전지차(FCV)를 4만대로 늘리고 2030년에는 80만대가 일본 전역을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 1964년 도쿄올림픽 당시 신칸센을 선보이며 세계 최초로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2020년에는 수소 인프라와 수소차를 갖춰 수소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다. 일본은 2014년 경제산업성이 수소사회를 위한 전략적 로드맵을 발표한 후 민관이 힘을 합쳐 ‘수소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도요타·닛산·도쿄가스 등 11개 회사가 연합해 ‘수소충전소 일본연합’을 만들었으며 현재 97개인 차량용 수소충전소를 2020년 160개, 2030년 9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 같은 로드맵의 원동력은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편성과 지원에서 나온다. 일본은 지난해 수소연료전지 관련 예산으로 417억6,000만엔을 책정했다.


중국은 더 막강한 보조금을 바탕으로 ‘수소 굴기’를 선언한 상태다. 중국 정부는 2025년 수소차 5만대와 수소충전소 300기, 2030년 100만대와 1,000기 누적 보급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전기차 보조금을 점차 축소하는 것과 달리 수소차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현 수준의 금액을 유지한다. 중국 중앙정부가 수소차에 지급하는 보조금은 최대 50만위안으로 여기에 지방정부의 보조금까지 더하면 최대 100만위안의 보조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수소충전소도 구축비의 60%를 정부가 지원하고 전담 관리부서까지 운영해 인프라 확충을 독려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는 2020년까지 100개 이상의 연료전지부품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밝히며 수소 도시를 천명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수소차 관련 산업 생산액을 3,000억위안까지 늘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유럽 국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수소를 미래 핵심 에너지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독일은 2007년부터 10년 단위 장기 프로그램인 ‘수소 연료전지 기술혁신 국가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소차를 2023년 65만대, 2030년 180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영국도 정부 주도 수소 모빌리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자국 내 수소 생산과 운반·저장 등 인프라 계획을 수립, 수행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는 배기가스 제로 정책 등을 통해 2025년까지 무공해차 판매 비율을 전체의 1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