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정은 잇따른 '현지지도'에…서방 전문가들 분석 엇갈려

"강력한 경제 건설 의지" vs "대북제재에 따른 이슈 돌리기"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부인 리설주 여사와 함께 강원도 원산영예군인가방공장을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출처=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부인 리설주 여사와 함께 강원도 원산영예군인가방공장을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출처=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잇따른 지방 ‘현지지도’를 놓고 서방의 전문가들이 분석이 양 갈래로 갈리고 있다. 경제 건설과 ‘민생 챙기기’ 행보라는 해석이 있는 반면, 서방의 고강도 대북제재에 맞선 일종의 고육책이라는 풀이도 나온다.


북한은 지난 4월 노동당 제7기 3차 전원회의에서 ‘핵·경제 건설 병진 노선’ 완성을 선언하고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새로운 노선으로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이때 “우리 공화국이 세계적인 정치사상강국, 군사강국의 지위에 확고히 올라선 현 단계에서 전당, 전국이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총력을 집중하는 것, 이것이 우리 당의 전략적 노선”이라고 강조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29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서방의 북한 전문가 가운데 다수가 지방의 농장, 생활필수품 공장 등으로의 김 위원장의 집중 방문이 경제 건설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의 ‘경제 올인’ 의지는 평양 인근의 군 운영 시설뿐 아니라, 평양에서 멀리 떨어진 낙후된 오지의 시설까지 마다치 않는 행보에서도 읽을 수 있다. 미 국무부 출신의 로버트 칼린 미국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객원연구원은 “이제 모든 것은 경제를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지도부 동향을 추적해온 미국의 북한 전문가 마이클 매든은 김 위원장이 한번 다녀왔던 산간오지로 또 가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행보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시각도 있다. 민간기업을 허용하는 경제개혁이 뒤따르지 않는 한, 대외 과시용 이상의 의미를 두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케빈 그래이 영국 서섹스대 교수는 김 위원장의 지방 ‘민생행보’ 하나에 의미를 두는 것을 경계하면서, 북한은 여전히 국가가 경제활동을 장악한 체제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그래이 교수는 김 위원장의 경제 집중 행보가 서방의 대북제재 우려에서 기인한 것으로 봤다. 그는 “경제가 압박받고 있으므로 김 위원장이 민생 이슈로 관심을 돌리는 것은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