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 아파트 20%는 6억 넘어…2005년 대비 5배 증가

보유세 개편으로 ‘똘똘한 한 채’ 현상 강화될 듯

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부동산114=연합뉴스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부동산114=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인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부동산세가 처음 도입된 2005년과 비교하면 서울 내 6억원이 넘는 아파트는 4.7배나 늘어났다.

부동산114는 지난 6월 현재 서울 159만9,732가구 중 20.0%에 해당하는 32만460가구가 6억원이 넘는다고 31일 밝혔다. 이 가운데 9억원이 넘는 아파트는 16만5,324가구로 전체의 10.3%를 차지했다. 다주택자의 경우 6억원 초과, 1주택자의 경우 9억원 초과 아파트를 종부세 적용을 받는 고가 아파트로 분류한다. 2005년 당시 6억원 초과 아파트는 6만6,841가구였고 9억원 초과 아파트는 2만9,447가구로 전체(118만7,792가구) 중 각각 5.6%와 2.5%를 차지했다.


고가 아파트의 범위도 확대됐다. 아파트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서는 곳은 2005년 강남, 서초, 송파, 용산에 국한됐지만 현재는 서울 25개 구 중 13개 구의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섰다. 서울 평균 호당 평균가격은 7억6,976만원이었다. 행정구역별로는 강남구(16억838만원)가 가장 높았고 서초구(15억7,795만원), 용산구(11억6,504만원), 송파구(11억5,395만원) 순이었다. 서울 외 경기도 과천(10억6,000만원), 성남(6억9,000만원) 등도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부동산114는 고가 주택의 확산과 보유세 개편이 맞물리면서 앞으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다주택자가 세 부담을 피해 미래가치가 높은 집 한 채에 집중할 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다주택자는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거나 보유주택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갈 텐데 이 과정에서 똘똘한 한 채만 남기려는 현상이 강해질 것”이라며 강남권 아파트는 당분간 오름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