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문희상 의장, 노무현 대통령 묘소 참배..'협치·통합' 강조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협치와 통합으로 사람 사는 세상 만들 것"

문희상 국회의장이 31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 모쇼를 참배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회문희상 국회의장이 31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 모쇼를 참배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회



문희상 국회의장이 31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자 묘소가 안치된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했다. 문 의장은 이날 묘역을 참배하고 방명록에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협치를 꼭 이뤄서 사람사는 세상 만들겠습니다”라고 썼다. ‘하해불택세류’는 ‘강과 바다는 조그마한 시냇물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협치의 전제인 포용을 의미한다.


문 의장은 참배 직후 “우리 노무현 대통령께서 가장 그리던 세상은 ‘사람 사는 세상’이었다”며 “최근 엄청난 세계사적 격변기에 온 국민이 하나돼 노무현이 그렸던 세상이 오기를 염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 길에 작은 힘이지만 국회의장으로서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문 의장은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의 봉하마을 방문에 대해 “그것이 방명록에도 적었듯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즉 통합의 정신이라고 생각한다”라며 “노무현 정신에 익숙한 분들이 여야 없이 봉하마을을 방문하는 것을 보면 협치의 기운이 싹트고 있고, 통합의 시기가 오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31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 모쇼를 참배하고 방명록에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협치를 꼭 이뤄서 사람사는 세상 만들겠습니다”라고 썼다. ‘하해불택세류’는 ‘강과 바다는 조그마한 시냇물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협치의 전제인 포용을 의미한다. /사진제공=국회문희상 국회의장이 31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 모쇼를 참배하고 방명록에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협치를 꼭 이뤄서 사람사는 세상 만들겠습니다”라고 썼다. ‘하해불택세류’는 ‘강과 바다는 조그마한 시냇물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협치의 전제인 포용을 의미한다. /사진제공=국회


한편 문 의장은 노 전 대통령의 묘비에 새겨진 글귀인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를 읽은 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국회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봉하마을 방문은 유인태 국회사무총장, 박수현 의장비서실장, 이기우 정무수석비서관, 이계성 국회대변인이 함께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