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최종구 “실손의료보험 청구서류 연간 2,400만건… 인슈테크가 해법”

최종구(가운데) 금융위원장과 김연아(왼쪽) 전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선수가 KB손해보험 관계자의 설명을 들으며 실손의료보험 간편청구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최종구(가운데) 금융위원장과 김연아(왼쪽) 전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선수가 KB손해보험 관계자의 설명을 들으며 실손의료보험 간편청구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보험업계가 인슈테크 혁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소비자 편익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31일 서울 여의도 보험개발원을 방문해 “앞으로 소비자 편의를 제고하고 보험사 효율성을 개선하는 인슈테크 혁신이 보험사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보험업계에 혁신기술에 대한 투자를 당부하고 핀테크 업체와의 협업도 요청했다. 이날 최 위원장은 인슈테크 현장점검 차원에서 실손의료보험 간편청구 서비스를 시연했다. 실손의료보험은 일상적인 의료비를 보장해 청구가 빈번한 청구가 빈번한 보험상품이지만 소비자가 진료비를 증빙하기 위한 서류를 병원에서 발급받아 보험사에 직접 방문 또는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보험개발원이 추산하는 실손의료보험 청구서류는 연간 2,400만 건이며, 이를 보험사 직원이 수기로 직접 심사할 수밖에 없어 인력 부담이 크고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손의료보험 간편청구는 필요서류를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등 전자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청구 및 처리하는 인슈테크 기술이다.

관련기사



해외에서는 이미 인공지능(AI) 보험금 산정, 원스톱 보험금 청구 등 인슈테크 성공 사례가 다수 등장했다. 일례로 미국의 ‘레모네이드’는 전체 청구의 25%를 3초 내에 지급하며, 중국의 ‘중안보험’은 제휴병원의 경우 모바일로 기본정보 입력 시 자동으로 청구가 이뤄진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위는 인슈테크 혁신 지원을 위해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