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종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병한다

KAIST·세브란스병원 “암 부위 아닌 뇌실하영역서 발생”

불꽃놀이처럼 돌연변이 세포 곳곳 퍼지고 종양으로 변해

동물모델 제작 성공..사람 적용 가능성, 치료약 개발나서

교포세포종 발생 부위에 따른 증상. /사진제공=서울아산병원교포세포종 발생 부위에 따른 증상. /사진제공=서울아산병원



뇌종양 중에서도 가장 악명 높은 교모세포종이 암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강석구 교수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암 부위가 아닌 암에서 멀리 떨어진 뇌실하영역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뇌 조직 신경교세포에 생기는 종양(신경교종) 중 가장 좋지 않은 증세를 보이는 질병으로 기존에는 암 부위에서 발병한다는 게 정설이었다.


교모세포종은 악성도에 따라 나눈 4개의 등급 중에서 최악인 4등급으로 종양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 치명적이다. 연구팀은 수술 이후에도 재발 우려가 매우 크다는 점에 착안, 원인이 종양과 다른 곳에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2013∼2017년에 수술한 뇌종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종양 조직 외에 수술 중 제거되는 종양 조직, 정상조직, 뇌실 주변 조직 등 3가지를 조합해 분석했다.

관련기사



딥 시퀀싱과 단일 세포 시퀀싱 등 일련의 기법을 동원한 결과 교모세포종 시작이 뇌실하영역에서 발생한 돌연변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뇌실하영역에서 돌연변이가 생기면 돌연변이 세포가 뇌실하영역을 떠나 뇌의 다른 부위로 이동한 뒤 교모세포종이 됐다.

‘불꽃놀이처럼 돌연변이 세포가 곳곳으로 퍼진 뒤 다른 부위에서 종양으로 변한다’는 게 연구팀의 표현이다. 이정호 KAIST 교수는 “교모세포종 원인을 파악하고 동물 모델 제작까지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환자에게서 찾은 것을 동물에 그대로 반영했다는 점에서 동물을 치료할 수 있다면 실제 사람에게도 적용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KAIST 교원창업 회사(소바젠)를 통해 치료약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연구는 서경배과학재단, 보건복지부 세계선도의과학자육성사업,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 사업 지원을 통해 수행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졸업생 이주호 박사가 1저자로 참여한 이 논문은 네이처(Nature) 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