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사시작 37일 지났는데...특검 뒤늦은 김경수 강제수사

경남도청 집무실·국회 압수수색

"수사시작 37일 지났는데..." 우려

金, 중수부장 출신 등 변호인 선임

드루킹 댓글 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허익범 특별검사팀이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겨냥한 저인망식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다만 압수수색이 너무 늦게 이뤄져 김 지사의 혐의 입증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득신 특검보 등 특검 수사인력 17명은 2일 경남 창원으로 내려가 김 지사의 경남도청 집무실과 관사를 압수수색했다. 특검팀 일부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 지사의 의원 시절 일정을 관리하던 비서의 컴퓨터와 김 지사의 컴퓨터 및 이 컴퓨터와 관련된 국회 서버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특검팀은 이날 서울로 올라온 김 지사를 만나 휴대폰 2대를 임의제출받기도 했다.


이는 지난 4월 경찰의 드루킹 댓글 조작 관련 수사가 시작된 후 김 지사를 대상으로 한 첫 강제수사다. 특검은 지난달 30일 드루킹과 댓글 조작을 공모한 혐의로 김 지사에 대해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에서 기각되며 무산된 바 있다. 특검은 이후 보강수사를 거쳐 압수수색영장을 다시 청구했고 법원이 영장을 발부해 이날 집행에 나섰다.

관련기사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이번 압수수색의 실효성에 대해 의구심이 일고 있다. 김 지사를 향할 것이 명백했던 특검의 수사가 시작되고 37일이 지나서야 압수수색이 이뤄져 김 지사가 수사에 대비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특히 국회에서 전직 의원과 보좌관이 사용한 컴퓨터는 복원이 불가능하게 자료를 삭제한다고 알려져 유의미한 증거가 나올 확률도 낮다는 분석이다.

김 지사는 이날 특검의 압수수색을 정면 비판했다. 김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갓 1개월 남짓 된 도청 사무실과 비서실까지 왜 뒤져야 하는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마지막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을 지낸 김경수 전 대구고검장 등 3명을 변호인으로 선임하고 소환 대비에 들어갔다. 박상융 특검보는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김 지사 변호인과 협의해 빨리 소환 일정을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